본문 바로가기

오늘도 읽는다/한국사

고려 연표

728x90
반응형

고려

제1대 태조 제 2대 혜종 제 3대 정종 제 4대 광종 제 5대 경종
918-943 943 -945 945-949 949-975 975-981
고려건국(918)
신라병합(935)
후백제 멸망(936)
> 민족의 재통합(936)
북진정책
국호 고려, 독자적 연호(천수), 서경중시, 거란 강경책(만부교 사건), 발해 유민 포섭
숭불 정책 > 연등회와 팔관회 중시
풍수지리 사상 중시
[정계]와 [계백료서]작성, 훈요 10조
호족 융합정책
회유책: 정략결혼, 사성정책, 역분전 지급
강경책 : 기인제도와 사심관 제도
사회 안정책
사전 설치(개경) , 흑창 설치 등 
교육 정책 학보 설치

왕규의 난(945) 왕규의 난 진압
서경천도 계획 > 실패
광군, 광군사 설치
광학보 설치
주현공부법
노비안검법
과거제 실시
4색공복제
칭제건원 > 독자적 연호 : 광덕 , 준풍
황도(皇都 : 개경)
서도(西都 : 서경) 라고 칭함
귀족 세력 숙청 : 
준흥, 왕동 숙청
송과 통교(962) > 송 연호 사용(963)
제위보 설치
국사 . 왕사제도 실시
교단통합시도 : 균여
남중국에 의통, 제관 파견( 천태종 전파) 
귀법사. 홍화사 창건
승과제도 실시 > 교종 : 승통, 선종 :대선사
관촉사석조미륵
보살 입상
반동정치
호족세력의 재강화
시정전시과(976) > 광등 + 인품 > 최초의 전국적 토지 분급

 

제 6대 성종 제 7대 목종 제 8대 현종 제 9대 덕종 제 10대 정종
981-997 997-1009 1009-1031 1031-1034 1034-1046
최승로의 시무 28조
2성 6부 체제
송의 관제 모방: 중추원,삼사
독제적 관제 : 도병마사, 식목도감
중국식 문산계 정식화
최초의 지방관 파견 : 12목
향리제도 마련 : 호장, 부호장
문신월과법 실시
국자감 설치(992)
12목 : 향학 설치, 경학 . 의학박사 파견
교육의 중요성
강조하는 교서 발표
비서성, 수서원 설치 : 도서관
분사(分司)제도 정비
노비환천법 실시
연등회 . 팔관회 일시 폐지
의창설치
상평창 설치
재면법 실시
건원중보
거란의 1차 침입(993) > 강동6주 획득(서희 ,994)
개정 전시과(998) > 관품만을 고려
강조의 정변(1009)
지방제도 개편 :
5도 양계 4도호부 8목 / 개성부 > 경중 5부 경기
향리 정원제
봉행 6조
주현공거법
주창수렴법
면군급고법
감목양마법
현화사 건립
연등회, 팔관회 부활
초조대장경 간행(1011 -1087)
7대 실록 간행 시작(황주량)
거란의 2차 침입(1010) > 현종
나주피난, 양규의 선전
거란의 3차 침입(1018) > 귀주대첩(강감찬)
나성 축조(1029)
경보, 금종보 설치
천리장성 축조 (1033 -1044)
제 11대 문종 제 12대 순종 제 13대 선종 제 14대 헌종 제 15대 숙종
1046-1083 1083 1083-1094 1094-1095 1095-1105
동서대비원 설치
사학 12도 융성 > 최충의 문헌공도
흥왕사 건립
경정전시과(1076) > 현직 관리에게만 지급, 별정전시과 정비
기인성상제
경시서 설치(개경)
팔관보 설치
  속장경 간행 시작
(1092-1102) : 의천(교정도감)
이자의의 난(1095) > 헌종의 숙부 '계림공 희' 가 난을 진압(이후 숙종) 이자의의 난을 진압하고 즉위 
남경개창도감 설치, 김위제의 건의
별무반 편성(거국적 군대 ):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
주전도감 설치(의천) : 해동통보, 해동중보, 삼한 통보, 삼한 중보, 동국통보, 동국중보, 활구(은병)
서적포 설치
천태종 융성
: 국청사 창건(의천) > 교관겸수, 내외겸전, 성상겸학
기자사당 건립(평양) 
제 16대 예종 제 17대 인종 제 18대 의종 제 19대 명종 제 20대 신종
1105-1122 1122-1146 1146-1170 1170-1197 1197-1204
측근세력 대두(한안인)
윤관의 여진 정벌 > 동북9성 축조(1107) > 동북 9성 환부(1109)
속현에 감무 파견
7재 설치
청연각, 보문각 설치
양현고 설치
신교(新敎)발표 > 문풍(文風)정치 지향
구제도감 설치
혜민국 설치
[속편년통재]
복원궁 건립
이자겸의 난(1126)
금의 사대요구 수용(1126)
'유신지교' 발표(1127)
정강의 변(1127)
송의'가도(假道)
문제'거절(1128)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1135)
[삼국사기](1145, 김부식)>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사서
경사 6학 정비
정중부의 난(1170) > 무신정권의 시작 (정중부, 이고 이의방 등)
[편년통록](김관의)
정중부 집권기 (1170-1179)
- 중방 중심 무단통치
- 김보당의 난 (1173)
- 조위총의 난(1174)
- 교종 승려의 난(1174)
- 공주 명학소의 난(1176)
경대승 집권기(1179-1183)
-도방중심 무단통치
-전주 관노의 난(1182)
이의민 집권기 
(1183-1193)
- 중방 중심 통치
-김사미. 효심의 난
(1193)
- [동명왕편]
(1193, 이규보)

수선사 결사 운동
(1204)
1) 지눌(정혜쌍수, 돈오점수) > 선교(禪敎)
일치 완성
2) 혜심(유불일치설)
      최충헌 집권기(1196 -1219)
- 명종- 신종- 희종- 강종- 고종
- 도방 부활
- 교정도감 설치(1209) > 장관 : 교정별감
- 봉사 10조
- 최충헌의 대농장 관리 기구 : 흥녕부
- 조계종 후원
- 만적의 난(1198) , 광명 . 계발의 난(1200)
- 고구려 부흥 운동 : 최광수의 난(1217)
- 신라부흥운동 : 동경의 난( 이비 . 패좌,1202)
제 22대 강종 제 23대 고종 제 24대 원종 제 25대 충렬왕 제 26대 충선왕
1211-1213 1213-1259 1259-1274 1274-1298 , 1298-1308 1298, 1308-1313
백련사 운동(1216) : 요세(법화신앙)
- 보현도량 개설
- 최씨정권의 대몽항쟁 지원
최우 집권기 (1219-1249)
- 정방 설치(1225) : 인사권
- 서방 설치(1227) : 문신 숙위 
- 삼별조 조직
백제 부흥 운동 : 이연년 형제의 난(1237)
몽골침입(1231-1254)
>1차 : 귀주성 전투(박서) > 2차 : 강화도 천도(1231) , 김윤후(처인부속), 초조대장경 소실 > 3차 : 황룡사 9층 목탑 소실(1238)
> 5차 : 김윤후(충주성) > 6차 : 충주 다인철소 전투
제조대장경(팔만대장경) : 대장도감( 강화도)
,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 2007) 
[해동고승전] (각훈,1215)
[상정고금예문] 인쇄 (1234)
무오정변(1258)
원 세조 구제(1260)
개경 환도(1270)
삼별초의 항쟁
(1270 - 1273)
> 진도 (배중손)
> 제주도(김통정)
탐라총관부 설치
녹과전(1271) 지급 : 경기 8현 토지, 현직 관리 대상

일본 원정(1274/1281)
정동행성 설치(1280)
쇄은 주조
섬학전 설치
문묘 재정비
경사교수도감 운영
[삼국유사](1281)
[제왕운기](1287)

정방 폐지
사림원(1298)
소금전매제(각염법)
퇴위 후 만권당 건립
(1314, 원나라 연경)
: 조맹부, 염복, 원명선과 이제현 등의 학문적 교류

    원 간 섭  기
정동행성 설치 : 일본원정(실패)
쌍성총관부 설치(1258-1356)
동녕부 설치(1270-1290)
탐라총관부 설치(1273-1301)
원의 내정간섭 기구 : 순마소, 만호부, 다루가치 등
관제 격하 : 중서문하성 + 상서성 > 첨의부 / 6부 > 4사 
관제 개편 : 도병마사 > 도병의사사
입성책동
독로화(도루가) 정책
원의 수탈 기구 : 결혼도감 , 응방

제 27대 충숙왕 1313-1330 , 1332-1339

제폐사목소 > 찰리 / 변위도감

[본조편년강목] (1313, 민지)

 

제 28대 충혜왕 1330-1332 , 1339-1344

편민조례추변도감

 

제 29대 충목왕 

1344- 1348

정치도감

 

제 30대 충정왕

1348-1351

 

제 31대 공민왕

1351-1374

친원파 숙청(기철) / 정동행정 이문소 폐지 /2성 6부체제 복구 /몽골풍 폐지 / 쌍성총관부 수복(1356) / 요양 점령(이성계, 지용수) / 정방폐지 / 전민변정도감 설치(신돈) / 성균관 정비(신진 사대부) / 자제위 설치 / [국사],[사략] (1357, 이제현)

 

제 32대 우왕 

1374-1388

[직지심체요절] (우왕 3년 , 1377) > 유네스코 기록유산(2001)

화통도감 설치(1377) / 명의 철령위 설치 통보 (1387) > 요동정벌 추진 > 위화도 회군 > 우왕 폐위

 

제 33대 창왕

1388-1389

폐가입진 > 창왕 폐위 ,공양왕 즉위

 

제 34대 공양왕

1389-1392

과전법(1391) / 저화 발행(1391)

 

왜 구 격 퇴

  • 홍산대첩(부여) - 최영 (1376, 우왕 2년)
  • 진포해전(금강) - 최무선(1380, 우왕 6년)
  • 관음포대첩(남해) - 정지(1383, 우왕 9년)
  • 쓰시마섬 정벌 - 박위 (1389, 창왕 2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