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제1대 태조
(1392-1398)
조선건국(1392)
국호 : 조선(1393.2)
한양 천도(1394.1)
정도전[조선 경국전],[경제문감],[경제육전],[진법서],[불씨잡변],[고려국사],[삼봉심기리편],[금남잡영],[금남잡제]
재상 중심 체제(도평 의사사)
종계변무 문제(1394)
제 1차 왕자의 난(1398) :정도전,남은 등 제거
[천상열차분야지도]
의창설치
제2대 정종
1398-1400
개경천도
도평의사사 축소,의정부 설치,중추원을 삼군부로 개편
제 2차 왕자의 난(1400,박포의 난)
제3대 태종
1400-1418
도평의사사 폐지
6조 직계제 실시
사간원 독립(대신 견제)
의금부,승정원 설치
억불정책:242개 사원 제외한 나머지 사원은 토지,노비 몰수
20년마다 양안 정비
호적 작성
호패법 실시(16세 이상 남자)
공도정책,사민정책
무역소 설치(경성,경원)
사병 혁파
노비변정도감 설치
신문고 설치(실효성 X)
서얼금고법 제정
재가금지법 제정
주자소 설치 : 계미자 주조
사섬서 설치 : 저화 발행
[원육전],[속육전] 간행
5부학당 설치(중앙)
조선왕조실록 편찬 시작
[동국사략](권근,하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이회,이무)>현존하는 동양 최고의 세계지도
팔도도
거북선,비거도선
제4대 세종
1418-1450
집현전 정비,사가독서제 실시
의정부서사제 실시> 왕권과 신권의 조화
[주자가례]장려
윤대법 실시
선고 양종 통합(교종 18,선종 18)
내불당 설치
한글 창제
측우기,자격루,양부일구 발명
칠정산 내외편 간행
사창제 운영(1448,대구)
공법 제정(1444) : 전분
6등법, 연분9등법
대마도 정벌(1419,이종무)
삼포개항(1426)/계해약조(1443)
4군(이천,최윤덕)6진(김종서)개척>현재국경선(압록강~두만강)확정
경자자,갑인자,병진자
효행록,농사직설,삼강행실도,총통등록,향약집성방,의방유취,신찬팔도지리지
고려사 편찬 시작(문종 때 완성)
사법개혁
-금부삼복법 : 삼심제
-노비사형금지법
-태배금지법
여민락,정간보
조선통보 주조
제 5대 문종
(1450-1452)
사창 규정 마련
고려사 완성(1451)
고려사절요 편찬(1452)
동국병감,병장도설
제 6대 단종
(1452-1455)
재상중심 정치
계유정난(1453) > 수양대군(세조)의 왕위 찬탈
역대병요
제 7대 세조
(1455-1468)
6조 직계제 실시
집현전,경연제도 폐지
면리제,오가작통법 실시
종친들을 중역에 등용
[경국대전] 편찬 시작 : 호전(1460),형전(1461)
보법 실시
진관체제 실시
토관제도 실시,사민정책 강화
직전법 실시(1466)
각종 둔전 설치
이시애의 난(1467)>유향소 폐지
간경도감 설치
원각사 건립
동국지도(양성지,정척) : 최초의 실측 지도
인지의, 규형
팔방통보(유엽전) 주조
제8대 예종
(1468-1469)
제 9대 성종
(1469-1494)
경국대전 반포(1485)
사림등용(훈구세력 견제)
유향소 복설
경연 활성화
홍문관 설치
>집현전 대체
>언론기관
간경도감 폐지
도첩제 폐지
관수관급제 실시(1470)
북방개척 윤필상 : 압록강 이북정벌
허종 : 두만강 이북 야민족 소탕
삼국사절요,동국통감,동문선,팔도지리지,동국여지승람,해동제국기,국조오례의,악학궤범
제 10대 연산군
(1494-1506)
무오사화(1498) : 조의제문
갑자사화(1504) : 폐비 윤씨 사건
신언패
중종반정(1506)
제 11대 중종
(1506 -1544)
조광조 개혁정치
-왕도정치
-현량과
-승과,소격서 폐지
-예씨 향약 수용
-수미법 실시 주장
-방납의 폐단 시정
-내수사 장리 폐지
-경연 강화
-위훈 삭제 > 기묘사화(1519)
[신증동국여지승람]
삼포왜란(1510) > 비변사 설치(임시 기구)
임신약조(1512) > 세견선 25척, 세사미두 100석
사량진왜변(1544)
군적수포제 실시(1541)
백운동 사원(15433, 주세붕)
[이륜행실도] 간행
제 12대 인종
(1544-1545)
제 13대 명종
(1545 - 1567)
을사사화(1545)
> 척신정치 시작
조선방역지도>유일하게 현존하는 원본 지도
임꺽정의 난
승려 보우 중용,승과 일시 부활
직전법 폐지(1556)
백운동 서원 > 소수서원 사액(1550,이황의 건의)
정미약조(1547) > 세견선 25척
을묘왜변(1555) > 비변사 상설기구화
제 14대 선조
(1567 - 1608)
사림 대거 중앙 정계 진출
척신정치 잔재 청산 문제 > 사림 분리 > 동인(신진사림) vs 서인(기성사림)
정여립 모반사건(기축옥사,1589)
니탕개의 난(1583)
임진왜란(1592) : 옥포 해전,합포 해전, 사천 해전, 당포 해전, 당항포 해전,한산도 대첩,진주 대첩,행주 대첩
정유재란(1597) : 칠천량 전투, 직산 전투, 명량대첩,노량 해전
훈련도감 설치(1593), 속오군 편제(1594)
이몽학의 난(1596)
기자실기(이이)
동묘 건립(1601)
제 15대 광해군
1608-1623
칠서사건(1613,영창대군 옹립 운동)>영창대군 사사(1614)
인목대비 폐위(1618)
전후 복구 사업 : 양전사업,궁궐 증축,파주 천도시도, 5대 사고 완비,동의보감
대동법(1608) : 선혜청(경기도)
신중한 중립외교 > 강홍립의 거짓투항
인조반정(1623)
기유약조 체결(1609)
제 16대 인조
1623-1649
서인정권(서인과 남인의 연합 정권)
친명배금 정책
어영청 설치(1623)
총융성 설치(1624)
수어청 설치(1627)
이괄의 난(1624)
영정법 설치(1635)
정묘호란(1627)
병자호란(1636)
제 17대 효종
1649-1659
서인정권
북벌론(어영청 중심) : 송시열,송준길,이완 등
나선 정벌
변급(1차,1654)
신유(2차,1658)
대동법 확대 실시 주장
:충청도,전라도(김육)> 한당(김육) vs 산당(김집,송시열 등)
설점수세제 실시
양척동일법 실시
농가집성(신속)
시헌력 채용(김육)
제 18대 현종
1659-1674
예송논쟁
1차 : 기해예송(1659) > 서인 win
2차: 갑인예송(1674) > 남인 win
제 19대 숙종
1674-1720
만동묘,대보단 설치
금위영 설치(1682) > 5군영 체제 완비
경신환국(1680) > 일당전제화 추세 대두 > 노론(송시열)vs소론(윤증)
기사환국(1689) : 남인이 다시 권력 장악
갑술환국(1694) : 서인이 다시 집권 > 노론과 소론의 대립심화
노론의 일당전제화 > 정유독대(1717)> 세자(경종)의 대리청정 결정됨
상평통보 유통
대동법 전국적으로 시행(100년 소요)
백두산 정계비 건립(1712),폐사군지 관심,안용복의 활약(울릉도와 독도)
단종 복위,이순신에게 '현충'시호 하사,의주에 강감찬 사당 건립
제 20대 경종
1720-1724
신임사화(1721-1722)
소론이 노론 제거,실권 장악
세제(연잉군,후에 영조)
대리청정문제 > 노론과 소론의 대립
제 21대 영조
1724-1776
을사환국(1725)
정미환국(1725)
탕평교서 발표
완론탕평
이인좌의 난(1728)
탕평비 건립(1742)
산림 존재 부정,서원 대폭 정리
자천권(정조 때 완전 폐지),통청권,한림회 천권 폐지
나주 괘서 사건(1755)
임오화변(사도세자 사건,1762)
균역법 실시(1750)
청계천 정비 :치수 사업
수성윤음(1751) : 훈령도감,금위영,어영청이 나누어 도성 방위
삼심제 엄격 시행,노비에 대한 사형 금지
신문고 다시 설치
[속대전 편찬]
노비종모법,노비공감법
속오례의,속대전,무원록,속병장도설,해동약장,동국문헌비고 등 편찬
여지도서,동국여지도,동국문헌비고의 여지고 등 제작
제 22대 정조
(1776-1800)
벽파 배제,시파 중용
준론 탕평 :적극적 탕평
장용영 설치(국와 친위대,1793)
규장각 설치(1776)>서얼등용(1779,이덕무,유득공,박제가,서이수 등)
문체반정
초계문신제 시행
주교사 설치(정약용 -배다리 설계)
수원 화성 축조(정약용- 거중기 제작)
수령이 향약 직접 주관
'만천명월주인옹자서'
신해통공(1791) : 시전상인의 금난전권 폐지(육의전 제외)
대전통편 편찬
규장총목,증보동국문헌비고,동문휘고,탁지지,추관지,규장전운,무예도보통지,홍재전서,고금도서집성 수입
추조적발 사건(1785)
진산사건(1791, 신해박해) : 윤지충,권상연의 신주 소각 사건
수원 화성 축조 > 국영시범 농장(대유둔, 축만제둔)설치,저수지(만석거축만제)축조
[세 도 정 치 기]
순조 대 안동 김씨 세도 정치기
현종 대 풍양 조씨가 권력 장악
철종 대 안동 김씨가 권력 장악
제 23대 순조
1800-1834
신유박해 : 노론 벽파정국 장악,황시영 백서사건
공노비 해방(1801) : 공노비 전체 해방아님
홍경래의 난(1811) : 19세기 최초의 반(反) 세도정치 민란
쌀 폭동(1833) : 경강상인,시전상인의 쌀 매점매석이 원인이 되어 발생
효명세자의 대리 청정
제 24대 헌종
1834-1849
기해박해(1839): 정하상과 프랑스 신부 처형
병오박해(1846) : 김대건 신부 처형
제 25대 철종
1849-1863
신해허통(1851,서얼허통)
동학 창도(1860, 최제우)>금령 반호(1863) >최재웅 처형(1864)> 2대 교주 최시형이 동학 교리 정리 (동경대전,용담유사)
임술 농민 봉기(1862)>삼성이정청 설치,삼정이정절목 반포(1862)
제 26대 고종
1863-1907
제 27대 순종
1907-1910
'오늘도 읽는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 -2 (0) | 2021.07.04 |
---|---|
신영식 한국사 근현대 연표-1 (0) | 2021.07.03 |
경찰학개론 각론 정리 1 - 제 2절 범죄예방정책업무 (0) | 2021.06.28 |
외울때까지 암기 (0) | 2021.06.09 |
이동기 보카 공무원 영단어 외우기 (0) | 2021.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