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고대
약 70만년전 | B.C. 8000년경 | B.C 2333년 | B.C 12세기경 | B.C.7세기경 | B.C 4~3세기 | B.C 3세기~B.C. 194 |
구석기시대 | 신석기시대 | 단군조선 | 전기 고조선 | 후기 고조선 | ||
구석기시대 시작 뗀석기,뼈도구 동굴,막집,바위그늘 이동생활,무리사회 |
신석기시대 시작 간석기,토기(이른민무늬, 덧무늬, 빗살무늬) 농경(조,피,수수), 목축 돌괭이,돌보습,돌삽,돌낫 가락바퀴,뼈바늘 움집, 정착생활 씨족사회, 부족사회 |
고조선(단군조선)의 시작 청동기시대의 시작 토기(덧띠새김무늬, 민무늬) 돌 농기구, 청동제 무기. 공구 벼농사 군장사회, 단군왕검(제정일치) 환웅족(청동기문화)+토착인(신석기문화,곰 부족) 아사달(왕검성) |
비파형동검문화 미송리식토기,거친무늬 거울 고인돌,돌널무덤 기자동래설 8조법([한서]지리지) |
제나라와 교역([관자]) 돌무지무덤(강상무덤,누상무덤) |
연나라 진개의 침입 고조선의 중심지 이동(요동>대동강) 후기 고조선의 시작 정복국가 조선왕, 대부 철기시대 시작(B.C. 5~4세기)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
왕위 부자상속(부왕>준왕) 준왕이 위만을 박사에 임명 부여) 송화강 유역 길림시 일대에서 건국 |
B.C.194 | B.C. 2~1세기 | 1~2C |
위만조선 위만의 왕위찬탈 철기문화의 본격적 수용 중계무역(한나라와 진.예 사이) 정복사업(임둔.진번 복속) 명도전(연나라 화폐) 널무덤,덧널무덤 태자,비왕(부왕),장군 상.경 관직(지방 책임자) 예군 남려의 한 내속 > 한의 창해군 설치(B.C. 108) 한사군(낙랑.임둔.진번.현도) 설치 |
고구려 주몽신화-고구려 건국(B.C.37) |
고구려) 유리왕(B.C. 19 ~ A.D. 18) 졸본> 국내성(집안) 천도 대무신왕(18~44) 부여공격(22) 태조왕(53~146) 계루부 고씨 왕위 세습(형제) 옥저 정복(56), 5부 체제정비(부족적 성격) 고국천왕(179~197) 행정적 성격의 5부 왕위 부자세습, 국상 을파소 진대법(춘대추납) |
마한 준왕의 남하 54국-목지국 중심 목지국의 왕이 삼한 영도 널무덤,독무덤,주구묘 국읍[군장(정치적 지배자)+ 천군(제사장)]진한 12국,사로국 변한 12국,구야국 |
백제 온조,비류형제 고구려에서 남하, 백제건국(B.C. 18) 신라 박혁거세신화 -신라 건국(B.C.57) |
신라) 남해차차웅(4-24)-박씨 유리이사금(24-57)-박씨 탈해이사금(57-80)-석씨 김알지 등장(60)-김씨 파사이사금(80-112)-박씨 벌휴이사금(184-196)-석씨 가야) 수로왕(42-199)-금관가야 건국 이진아시왕-대가야 건국 |
3C | 4C | 5C |
고구려) 동천왕(227-248) 오와 통교(위견제),서안평 공격 위나라 관구검 침입으로 환도성 함락 |
고구려) 미천왕(300-331) 서안평 점령(311),낙랑 축출(313),대방 축출(314) 고국원왕(331-371) 전연 모용황의 침입(342) 백제 근초고왕의 침입(371) > 전사 소수림왕(371-384) 전진과 수교 (372), 불교 전래(전진의 순도,372), 태학 설립(372), 율령반포(373) |
고구려) 광개토왕(391~413) 요동확보(후연격파),백제공격,왜구격퇴(400) 영락 연호사용 장수왕(413~491) 남하정책 : 평양 천도(427) 백제 위례성 함락(475) 충주 고구려비, 남북조와 모두 수교 지두우 분할 시도, 경당 설립 문자왕(491~519) 부여 복속(494)- 고구려 최대 영토 |
백제) 고이왕(234-286) 6좌평 16관등제,관복제,율령반포(260) |
백제) 근초고왕(346-375) 마한정복 고구려 공격(371) 요서,산둥,규슈 진출 동진과 수교 일본에 왕인.아직기 파견, 칠지도 하사 서기 편찬(고흥) 침류왕(384-385) 불교 수용(384, 동진의 마라난타) |
백제) 비유왕(427~455) 나제동맹(433-553) 개로왕(455-475) 북위에서 국서 보냄(472) 한강유역 상실,장수왕에 의해 죽음(475) 문주왕(475-501) 웅진 천도(475), 피살됨(477) 동성왕(479-501) 신라 소지왕과 결혼 동맹(493) 탐라국 복속(498), 국방력 강화 피살됨(501) |
신라) 첨해이사금(247-261)-석씨 미추이사금(262-284)-첫 김 씨 왕 |
신라) 내물 마립간(356~402) 김 씨 왕위 세습 확립 전진과 수교(고구려 통해 위두 파견) 광개토왕이 신라에 침입한 왜구 격퇴(400) > 고구려군의 신라 주둔 부여) 전연 모용황의 침입으로 국왕이 포로로 잡혀감(346) 가야) 포상 8국의 난 > 전기 가야 연맹 위축 |
신라) 실성마립간(402-417) 눌지마립간(417-458) 나제동맹(433-553),왕위 부자세습 불교 전래 [묵호자(아도)] 자비마립간(458-479) 수도의 방리명 지정 소지마립간(479-500) 백제 동성왕과 결혼 동맹(493) 우역 개설(487), 시장 개설(490) 6부의 행정구역화, 신궁 설치 부여) 광개토왕의 동부여, 북부여 정벌 고구려 문자명왕때 부여 멸망(494) 가야) 광개토왕의 왜구 격퇴(400) > 금관가야 중심의 전기 가야 연맹 쇠퇴 > 대가야 중심의 후기 가야 연맹 성립 |
6C | 7C(600-676) | 7C(676-700) |
고구려) 안장왕(519-531) 안원왕(531-545) 양원왕(545-559) 평원왕(559-590) 온달의 신라 공격(590) > 전사 수나라의 남북조 통일(589) |
고구려) 영양왕(590-618) 요서 선제공격(598) 수의 침입 > 살수 대첩(을지문덕,612) 영류왕(618-642) 천리장성 축조(부여성~비사성,631~647) 연개소문의 정변(642) 보장왕(642~668) 당의 침입> 안시성 전투(양만춘,645) 고구려 멸망> 안동도호부 설치(668) 부흥 운동(한성의 검모잠,오골성의 고연무) 안승의 보덕국와 임명(674) |
후기신라 (통일신라) 신문왕(681-692) 김흠돌의 난(681) 5묘제 정비 관료전 지급(687),녹읍폐지(689) 14부 관청(집사부 등) 정비 9주 5소경제 9서당 (중앙군), 10정(지방군) 국학 설치(682) 만파식적 달구벌 천도 시도, 5묘제 실시 효소왕(692-702) 서시와 남시 설치(695) |
백제) 무령왕(501-523) 22담로 설치(지방 거점) 남조 양과 수교, 고구려 격퇴 5경박사를 일본에 파견(단양이.고안무) 무령왕릉 성왕(523-554) 사비천도,국호 남부여 개칭(538) 관제 정비 :22부 행정 제도 : 5부(수도),5방(지방) 불교 중흥, 겸익 등용, 일본에 노리사치계 파견 한강하류 회복 신라 진흥왕의 배신(553)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554) 위덕왕(554-598) 부여 능산리사지 건립, 왕흥사 목탑 건립 |
백제) 무왕(600-641) 부여에 왕흥사, 익산에 미륵사 건립(호국사찰) 익산 천도 추진> 실패 미륵사지 석탑 사리봉안기(왕비 사택적덕의 딸) 의자왕(641-660) 해동증자,신라 대야성 공취(642) 백제 멸망> 웅진 도독부 설치(660) 부흥운동(복신,도침,풍왕,흑치상지,지수신) |
|
신라) 지증왕(500-514) '신라'국호,왕호 사용(503),순장금지(502),상복법제정 주.군정비(군주 파견),우경 실시,우산국정벌(512) 동시전 설치(508), 동시 설치(509) 법흥왕(514-540) 율령반포(520)- 공복. 골품제 정비, 불교수용(527), 병부. 상대등 설치 금관가야 병합(532), 연호 건원 사용(536) 백제를 통해 양과 수교 진흥왕(540~576) 한강유역 차지 함경도 진출(순수비),대가야 병합(562) 화랑도 정비, 국사 편찬(545, 거칠부),품주 설치 개국.대창.홍제 연호 사용, 황룡사 건립, 전륜성왕 자처, 혜량 국통 임명 가야) 금관가야 구형왕(521-532) 신라 법흥왕에 항복(532) 대가야 이뇌왕 : 신라 법흥왕과 결혼 동맹 체결(522) 도설지왕 : 신라 진흥왕 때 항복(562) |
신라) 진평왕(579-632) 수와 친선(걸사표), 세속오계(원광) 위화부.조부.예부 설치 선덕여왕(632-647) 대야성 함락(642, 백제 의자왕), 당과 통교, 황룡사 9층 목탑 건립(자장),분황사와 영묘사 건립 비담과 염종의 반란 진덕여왕(647-654) 나당연합(648), 태평송, 당 연호(영휘)사용 품주 > 집사부,창부 태종무열왕(654-661) 백제 정복(660),갈문왕제 폐지 문무왕(661-681) 고구려 정복(668) 나당전쟁(매소성,기벌포) > 삼국통일(676) 외사정 파견,임해전 건립 |
발해 고왕(698-719)대조영 대조영이 동모산에서 발해 건국(698) 발해군왕 책봉(713) 연호 천통 |
8C | 9C | 10C |
통일신라) 성덕왕(702-737) 문묘 설치 : 공자, 72제자상 안치 정전 지급(722) 효성왕(737-742) 경덕왕(742-765) 한화정책 성덕대왕 신종 주조 시작(완성은 혜공왕때) 불국사, 석굴암 창건(751) 녹읍 부활(757) 혜공왕(765-780) 대공의 난(96 각간의 난,768) 김지정의 난(780) >혜공왕 피살 5묘제 (미추왕, 무열왕, 문무왕, 성덕왕, 경덕왕) 선덕왕(780-785) 신라 하대의 시작, 내물왕계 부활 원성왕(785-798) 원성왕계 하대 왕통의 시작 독서삼품과(788) 소성왕(798-800) 국학생 녹읍 지급(청주 거로현) |
애장왕(800-809) 헌덕왕(809-826) 김헌창의 난(822), 김범문의 난(825) 흥덕왕(826-836) 장보고의 청해진 설치(828) 희강왕(836-838) 민애왕(838-839) 신무왕(839) 장보고의 도움으로 왕위에 오름 문성왕(839-857) 장보고의 난(846) 현안왕(857-861) 경문왕(861-875) 헌강왕(875-886) 정강왕(886-887) 진성여왕(887-897) [삼대목]편찬(888) 원종과 애노의 난(889) 적고적 봉기(896) 기훤. 양길의 농민 반란 주도 견훤의 무진주 습격(892) |
효공왕(897-912) 헌강왕의 서자로 왕위에 오름 견훤의 후백제 건국(900) 궁예의 후백제 건국(901)) 신덕왕(912-917) 박씨 왕실의 등장 경명왕(917-924)-박씨 후고구려 멸망(918) 경애왕(924-927)-박씨 후백제 견훤의 습격으로 사망(927) 경순왕(927-935) 견훤에 의해 옹립된 김씨왕 신라 멸망(935) |
발해 무왕(719-737) 대무예 북만주 일대 장악, 돌궐,왜와 친선(당. 신라 견제) 당과 대립> 산동반도 등주 공격(732) 동모산에서 중경 현덕부 천도 연호 인안 문왕(737-793) 대흠무 당과 친선,3성 6부, 주자감(교육기관) 설치 중경에서 상경 천도(756) 발해국왕에 책봉(762) 상경에서 동경 천도(785) 신라와 교류(신라도) 황제국 체제(천손 의식, 황상) 연호 대흥, 보력 폐왕 대원의(793) 성왕(793-794) 동경에서 상경환도(794) |
강왕(794-809) 정왕(809-812) 희왕(812-817) 간왕(817-818) 선왕(818-830) 말갈족 복속(흑수말갈 포함) 요동진출, 최대 영토 5경 15부 62주 해동성국, 연호 건흥 대이진(830-858) 대건황(858-871) 대현석(871-893) |
대위해(893-906) 대인성(906-926) 거란족에 의해 멸망(926) 세자 대광현 고려 망명(934) |
728x90
반응형
'오늘도 읽는다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능력시험 50회 오답노트 (0) | 2021.09.10 |
---|---|
한능검 49회 오답노트 (0) | 2021.09.09 |
한국사능력시험 48회 오답노트 (0) | 2021.09.06 |
한능검 47회 오답노트 (0) | 2021.09.03 |
21년 경찰시험 2차 한국사 기출 (0) | 2021.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