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도 읽는다/한국사

지방직 대비 한국사 기출 공부 - 민족 문화 수호 운동

728x90
반응형



일제가 다음과 같은 취지의 조선 교육령을 공포한 데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보통학교의 수업 연한을 4년에서 6년으로, 고등보통학교는 4년에서 5년으로 연장한다.
· 조선인과 일본인의 공학을 원칙으로 한다.



① 헌병 경찰 중심의 통치 체제 하에서 낮은 수준의 실용 교육만 실시하고자 하였다.
② 태평양 전쟁을 일으키고 황국 신민화 교육을 더욱 강화하고자 하였다.
③ 만주 침략을 감행하고 한국인을 동화시켜 침략 전쟁의 협조자로 만들고자 하였다.
④ 3·1운동 이후 격화된 한국인의 반일 감정을 무마하고자 하였다.








정답
제2차 조선 교육령은 1922년에 발표되었는데 '문화통치' 의 일환이었다. 우리 민족을 회유하고 분열시키기 위한 기만적 통치 방식 이었다.





다음과 같은 조선 교육령이 발표된 때와 가장 가까운 시기에 시행된 일제의 정책으로 옳은 것은?

제1조 소학교는 국민 도덕의 함양과 보통의 지능을 갖게 함으로써 충량한 황국 신민을 육성하는 데 있다.
제13조 심상 소학교 교과목은 수신, 국어(일어), 산술, 국사, 지리, 이과, 직업, 도화이다.
조선어는 수의(隨意: 선택) 과목 으로 한다.


①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하여 소작농들의 경작권을 박탈하였다.
② 관세 철폐령을 내려 일본 상품의 조선 진출의 길을 확대하였다.
③ 한국인의 전시 동원을 위한 국가 총동원령을 발표하였다.
④ 징병제를 실시하여 20만여 명의 조선 청년들을 징집하였다.





정답

일제는 1938년에 제3차 조선 교육령과 국가 총동원법을 발표하였다.
이를 통해 전쟁 수행을 위한 노동력과 물자를 마음대로 수탈 하였다.





학교 명칭변천


소학교 (1895) → 보통학교 (1906) → 심상 소학교 (1938) → 국민학교 (1941) → 초등학교 (1996)




다음 법령의 시행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제2조 국어를 상용하는 자의 보통 교육은 소학교령, 중학교령 및 고등여학교령에 의함.
제3조 국어를 상용치 아니하는 자에 보통 교육을 하는 학교는 보통 학교, 고등보통학교 및 여자고등보통학교로 함.
제5조 보통학교의 수업 연한은 6년으로 함. 보통학교에 입학하는 자는 연령 6년 이상의 자로 함.
제7조 고등보통학교의 수업 연한은 5년으로 함.
          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는 자는 수업 연한 6년의 보통학교를 졸업한 자 또는 조선 총독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 함.



① 치안 유지법이 제정되었다.
② 경성 제국 대학이 설립되었다.
③ 조선어학회 사건이 발생하였다.
④ 브나로드 운동과 문자 보급 운동이 전개되었다.




정답
제2차 조선 교육령은 1922년부터 1938년 제3차 조선 교육령이 발표되기 전까지 시행되었다.
조선어학회 사건은 1942년에 일어났다.




조선 교육령의 변천

제1차 (1911)
· 우민화 정책, 보통 교육 4년
· 사립 학교령을 제정하여 민족 교육 봉쇄

제2차 (1922)
· '문화 통치'의 일환으로 시행
· 보통 교육 6년으로 연장, 조선어 교육 허용
· 경성 제국 대학 설립(1924)

제3차 (1938)
· 황국 신민화 교육, 민족 말살 정책
· 조선어를 수의 과목으로 지정(선택 과목)
· 국민학교령(1941): 황국 신민 학교

제4차 (1943)
· 조선어 교육금지 및 사용 금지
· 체련의 시수 증가(침략 전쟁 투입 준비를 위한 교육)



다음 글을 저술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대개 국교 · 국학 · 국어 · 국문 · 국사는 혼(魂)에 속하는 것이요,
전곡 · 군대 · 성지 · 함선 · 기계 등은 백(魄)에 속하는 것으로 혼의 됨됨은 백에 따라서 죽고 사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국교와 국사가 망하지 않으면 그 나라도 망하지 않는 것이다.
오호라! 한국의 백은 이미 죽었으나 소위 혼은 남아 있는 것인가?


① 「유교 구신론」을 발표하여 유교 개혁을 주장하였다.
② 조선심을 강조하며 역사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③ 의열단의 기본 정신이 나타난 조선 혁명 선언을 저술하였다.
④ 민족 문화의 고유성과 세계성을 찾으려는 조선학 운동에 참여 하였다.






정답 박은식은 기존 성리학으로는 급변하는 시대에 대처할 수 없음을 느끼고 양명학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에 기반하여 유교의 쇄신을 촉구하는 유교 구신론을 발표(1909)하고 이후 양명학을 소개하는 「왕양명 실기」를 간행하였다(1910).







다음 주장을 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우리 조선의 역사적 발전의 전 과정은 가령 지리적 조건, 인종학적 골상, 문화 형태의 외형적 특징 등 다소의 차이는 인정되더라도 외관적이니,
소위 특수성은 다른 문화 민족의 역사적 발전 법칙과 구별되어야 하는 독자적인 것이 아니며, 세계사적인 일원론적 역사 법칙에 의해
다른 민족과 거의 같은 궤도로 발전 과정을 거쳐 온 것이다. 그 발전 과정의 완만한 템포, 문화의 특수적인 농담(濃淡)은 결코 본질적인 특수성이 아니다.


① 진단 학보 발행에 참여하였다.
② 식민 사관의 정체성론을 반박하였다.
③ 얼을 강조하고 조선학 운동을 주도하였다.
④ 조선사편수회의 조선사 편찬에 참여하였다.
⑤ 「한국통사」와「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저술하였다.




정답
사회 경제 사학자인 백남운
한국사도 세계사의 보편적 발전 법칙에 따라 발전해 왔다고 주장하면서 한국사에는 봉건 사회가 없어 스스로 근대 사회로 발전할 수 없었다는 식민 사관의 정체성론을 반박하였다.





근대 역사학


한국통사」 (1915) - 박은식 저술, 독립운동의 방편으로 한국사저술, 일제 침략과 주권 상실의 아픔의 역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박은식 저술,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사료 편찬소에서 수집 (1920) 된 자료를 활용하여 독립운동사 저술

조선사연구초」 (1929) 신채호 저술,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을 '조선 역사상 일천년래 제일대사건'으로 파악 · 동아일보 연재(1924 ~1925)

조선상고사」(1931) 신채호 저술, 역사를 '아와 비아의 투쟁'으로 파악

조선사회경제사」(1933) 백남운 저술, 식민사관의 정체성론 비판


박은식의 활동


국권 피탈이전
· 해서 지방의 유학자 출신
· 독립 협회 참여 → 시대에 대응하지 못하는 주자학에 한계를 느낌 → 양명학으로 관심을 옮겨 「왕양명실기」 저술
·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의 주필
· 「서북학회월보」 · 「서우」에 논설 집필

국권 피탈이후
·1911년 망명하여 환인현 여행 → 「동명왕실기」, 「천개소문전」, 「명림답부전」등 구상 · 집필
·1915년 「한국통사」 저술 - 국혼론 정립
· 1918년 러시아령 쌍성자에서 「발해사」, 「금사」 ,「이준전」저술
· 1920년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저술
1925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통령 선임 → 국무령제 개편후 퇴임, 병사
영웅 사관: 국권 회복의 독립 투쟁을 위한 영웅이 출현해야 한다고 주장 → 「천개소문전」 ,「몽배금태조」, 「김유신전」, 「안의사중근전」· 「동명왕실기」, 「이충무순신전」등 영웅 전기저술










출처 - 전한길한국사 3.0 기출문제집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