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고려
제1대 태조 | 제 2대 혜종 | 제 3대 정종 | 제 4대 광종 | 제 5대 경종 |
918-943 | 943 -945 | 945-949 | 949-975 | 975-981 |
고려건국(918) 신라병합(935) 후백제 멸망(936) > 민족의 재통합(936) 북진정책 국호 고려, 독자적 연호(천수), 서경중시, 거란 강경책(만부교 사건), 발해 유민 포섭 숭불 정책 > 연등회와 팔관회 중시 풍수지리 사상 중시 [정계]와 [계백료서]작성, 훈요 10조 호족 융합정책 회유책: 정략결혼, 사성정책, 역분전 지급 강경책 : 기인제도와 사심관 제도 사회 안정책 사전 설치(개경) , 흑창 설치 등 교육 정책 학보 설치 |
왕규의 난(945) | 왕규의 난 진압 서경천도 계획 > 실패 광군, 광군사 설치 광학보 설치 |
주현공부법 노비안검법 과거제 실시 4색공복제 칭제건원 > 독자적 연호 : 광덕 , 준풍 황도(皇都 : 개경) 서도(西都 : 서경) 라고 칭함 귀족 세력 숙청 : 준흥, 왕동 숙청 송과 통교(962) > 송 연호 사용(963) 제위보 설치 국사 . 왕사제도 실시 교단통합시도 : 균여 남중국에 의통, 제관 파견( 천태종 전파) 귀법사. 홍화사 창건 승과제도 실시 > 교종 : 승통, 선종 :대선사 관촉사석조미륵 보살 입상 |
반동정치 호족세력의 재강화 시정전시과(976) > 광등 + 인품 > 최초의 전국적 토지 분급 |
제 6대 성종 | 제 7대 목종 | 제 8대 현종 | 제 9대 덕종 | 제 10대 정종 |
981-997 | 997-1009 | 1009-1031 | 1031-1034 | 1034-1046 |
최승로의 시무 28조 2성 6부 체제 송의 관제 모방: 중추원,삼사 독제적 관제 : 도병마사, 식목도감 중국식 문산계 정식화 최초의 지방관 파견 : 12목 향리제도 마련 : 호장, 부호장 문신월과법 실시 국자감 설치(992) 12목 : 향학 설치, 경학 . 의학박사 파견 교육의 중요성 강조하는 교서 발표 비서성, 수서원 설치 : 도서관 분사(分司)제도 정비 노비환천법 실시 연등회 . 팔관회 일시 폐지 의창설치 상평창 설치 재면법 실시 건원중보 거란의 1차 침입(993) > 강동6주 획득(서희 ,994) |
개정 전시과(998) > 관품만을 고려 강조의 정변(1009) |
지방제도 개편 : 5도 양계 4도호부 8목 / 개성부 > 경중 5부 경기 향리 정원제 봉행 6조 주현공거법 주창수렴법 면군급고법 감목양마법 현화사 건립 연등회, 팔관회 부활 초조대장경 간행(1011 -1087) 7대 실록 간행 시작(황주량) 거란의 2차 침입(1010) > 현종 나주피난, 양규의 선전 거란의 3차 침입(1018) > 귀주대첩(강감찬) 나성 축조(1029) 경보, 금종보 설치 |
천리장성 축조 (1033 -1044) |
제 11대 문종 | 제 12대 순종 | 제 13대 선종 | 제 14대 헌종 | 제 15대 숙종 |
1046-1083 | 1083 | 1083-1094 | 1094-1095 | 1095-1105 |
동서대비원 설치 사학 12도 융성 > 최충의 문헌공도 흥왕사 건립 경정전시과(1076) > 현직 관리에게만 지급, 별정전시과 정비 기인성상제 경시서 설치(개경) 팔관보 설치 |
속장경 간행 시작 (1092-1102) : 의천(교정도감) |
이자의의 난(1095) > 헌종의 숙부 '계림공 희' 가 난을 진압(이후 숙종) | 이자의의 난을 진압하고 즉위 남경개창도감 설치, 김위제의 건의 별무반 편성(거국적 군대 ):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 주전도감 설치(의천) : 해동통보, 해동중보, 삼한 통보, 삼한 중보, 동국통보, 동국중보, 활구(은병) 서적포 설치 천태종 융성 : 국청사 창건(의천) > 교관겸수, 내외겸전, 성상겸학 기자사당 건립(평양) |
제 16대 예종 | 제 17대 인종 | 제 18대 의종 | 제 19대 명종 | 제 20대 신종 |
1105-1122 | 1122-1146 | 1146-1170 | 1170-1197 | 1197-1204 |
측근세력 대두(한안인) 윤관의 여진 정벌 > 동북9성 축조(1107) > 동북 9성 환부(1109) 속현에 감무 파견 7재 설치 청연각, 보문각 설치 양현고 설치 신교(新敎)발표 > 문풍(文風)정치 지향 구제도감 설치 혜민국 설치 [속편년통재] 복원궁 건립 |
이자겸의 난(1126) 금의 사대요구 수용(1126) '유신지교' 발표(1127) 정강의 변(1127) 송의'가도(假道) 문제'거절(1128)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1135) [삼국사기](1145, 김부식)>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사서 경사 6학 정비 |
정중부의 난(1170) > 무신정권의 시작 (정중부, 이고 이의방 등) [편년통록](김관의) |
정중부 집권기 (1170-1179) - 중방 중심 무단통치 - 김보당의 난 (1173) - 조위총의 난(1174) - 교종 승려의 난(1174) - 공주 명학소의 난(1176) 경대승 집권기(1179-1183) -도방중심 무단통치 -전주 관노의 난(1182) 이의민 집권기 (1183-1193) - 중방 중심 통치 -김사미. 효심의 난 (1193) - [동명왕편] (1193, 이규보) |
수선사 결사 운동 (1204) 1) 지눌(정혜쌍수, 돈오점수) > 선교(禪敎) 일치 완성 2) 혜심(유불일치설) |
최충헌 집권기(1196 -1219) - 명종- 신종- 희종- 강종- 고종 - 도방 부활 - 교정도감 설치(1209) > 장관 : 교정별감 - 봉사 10조 - 최충헌의 대농장 관리 기구 : 흥녕부 - 조계종 후원 - 만적의 난(1198) , 광명 . 계발의 난(1200) - 고구려 부흥 운동 : 최광수의 난(1217) - 신라부흥운동 : 동경의 난( 이비 . 패좌,1202) |
제 22대 강종 | 제 23대 고종 | 제 24대 원종 | 제 25대 충렬왕 | 제 26대 충선왕 |
1211-1213 | 1213-1259 | 1259-1274 | 1274-1298 , 1298-1308 | 1298, 1308-1313 |
백련사 운동(1216) : 요세(법화신앙) - 보현도량 개설 - 최씨정권의 대몽항쟁 지원 |
최우 집권기 (1219-1249) - 정방 설치(1225) : 인사권 - 서방 설치(1227) : 문신 숙위 - 삼별조 조직 백제 부흥 운동 : 이연년 형제의 난(1237) 몽골침입(1231-1254) >1차 : 귀주성 전투(박서) > 2차 : 강화도 천도(1231) , 김윤후(처인부속), 초조대장경 소실 > 3차 : 황룡사 9층 목탑 소실(1238) > 5차 : 김윤후(충주성) > 6차 : 충주 다인철소 전투 제조대장경(팔만대장경) : 대장도감( 강화도) ,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 2007) [해동고승전] (각훈,1215) [상정고금예문] 인쇄 (1234) 무오정변(1258) |
원 세조 구제(1260) 개경 환도(1270) 삼별초의 항쟁 (1270 - 1273) > 진도 (배중손) > 제주도(김통정) 탐라총관부 설치 녹과전(1271) 지급 : 경기 8현 토지, 현직 관리 대상 |
일본 원정(1274/1281) 정동행성 설치(1280) 쇄은 주조 섬학전 설치 문묘 재정비 경사교수도감 운영 [삼국유사](1281) [제왕운기](1287) |
정방 폐지 사림원(1298) 소금전매제(각염법) 퇴위 후 만권당 건립 (1314, 원나라 연경) : 조맹부, 염복, 원명선과 이제현 등의 학문적 교류 |
원 간 섭 기 정동행성 설치 : 일본원정(실패) 쌍성총관부 설치(1258-1356) 동녕부 설치(1270-1290) 탐라총관부 설치(1273-1301) 원의 내정간섭 기구 : 순마소, 만호부, 다루가치 등 관제 격하 : 중서문하성 + 상서성 > 첨의부 / 6부 > 4사 관제 개편 : 도병마사 > 도병의사사 입성책동 독로화(도루가) 정책 원의 수탈 기구 : 결혼도감 , 응방 |
제 27대 충숙왕 1313-1330 , 1332-1339
제폐사목소 > 찰리 / 변위도감
[본조편년강목] (1313, 민지)
제 28대 충혜왕 1330-1332 , 1339-1344
편민조례추변도감
제 29대 충목왕
1344- 1348
정치도감
제 30대 충정왕
1348-1351
제 31대 공민왕
1351-1374
친원파 숙청(기철) / 정동행정 이문소 폐지 /2성 6부체제 복구 /몽골풍 폐지 / 쌍성총관부 수복(1356) / 요양 점령(이성계, 지용수) / 정방폐지 / 전민변정도감 설치(신돈) / 성균관 정비(신진 사대부) / 자제위 설치 / [국사],[사략] (1357, 이제현)
제 32대 우왕
1374-1388
[직지심체요절] (우왕 3년 , 1377) > 유네스코 기록유산(2001)
화통도감 설치(1377) / 명의 철령위 설치 통보 (1387) > 요동정벌 추진 > 위화도 회군 > 우왕 폐위
제 33대 창왕
1388-1389
폐가입진 > 창왕 폐위 ,공양왕 즉위
제 34대 공양왕
1389-1392
과전법(1391) / 저화 발행(1391)
왜 구 격 퇴
- 홍산대첩(부여) - 최영 (1376, 우왕 2년)
- 진포해전(금강) - 최무선(1380, 우왕 6년)
- 관음포대첩(남해) - 정지(1383, 우왕 9년)
- 쓰시마섬 정벌 - 박위 (1389, 창왕 2년)
728x90
반응형
'오늘도 읽는다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대비 유물 유적 공부 (0) | 2021.10.16 |
---|---|
무신정권 정리 , 하층민 봉기 (0) | 2021.10.13 |
한국사 능력시험 50회 오답노트 (0) | 2021.09.10 |
한능검 49회 오답노트 (0) | 2021.09.09 |
고대 연표 - 믿고보는 신영식 한국사 (0) | 2021.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