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연표 - 믿고보는 신영식 한국사
고대 약 70만년전 B.C. 8000년경 B.C 2333년 B.C 12세기경 B.C.7세기경 B.C 4~3세기 B.C 3세기~B.C. 194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단군조선 전기 고조선 후기 고조선 구석기시대 시작 뗀석기,뼈도구 동굴,막집,바위그늘 이동생활,무리사회 신석기시대 시작 간석기,토기(이른민무늬, 덧무늬, 빗살무늬) 농경(조,피,수수), 목축 돌괭이,돌보습,돌삽,돌낫 가락바퀴,뼈바늘 움집, 정착생활 씨족사회, 부족사회 고조선(단군조선)의 시작 청동기시대의 시작 토기(덧띠새김무늬, 민무늬) 돌 농기구, 청동제 무기. 공구 벼농사 군장사회, 단군왕검(제정일치) 환웅족(청동기문화)+토착인(신석기문화,곰 부족) 아사달(왕검성) 비파형동검문화 미송리식토기,거친무늬 거울 고인돌,돌널무덤 기자동래설 8조법([..
21년 경찰시험 2차 한국사 기출
1) 부여 - 왕의 장례에 옥갑을 사용 - 여름철에 얼음 사용, 순장, 간음자.투기한 부인>사형 2) 고구려 - 무덤 : 돌을 쌓아 봉분을 만들고(돌무지무덤) 주변에 소나무,잣나무 심음 3) 옥저 - 골장제(세골장), 가족 공동묘 > 쌀항아리(목곽 입구에 쌀항아리 매달아 놓음) > 영혼 숭배 4) 신라 - 통일전 : 돌무지 덧널무덤 ( 적석 목곽분) - 지상이나 지하에 시신을 껴묻거리를 넣은 나무덧널을 설치하고, 그 위에 냇돌을 쌓은 다음에 흙으로 덮음 only 신라 ,도굴 어려운, 시신 추가매장 불가 (단장무덤) , 벽화x, 규모 大 선사시대 유적지 구석기 - 전기 -단양 도담리 금굴 유적지 : 한반도 최고 ( 70만년 전) 공주 석장리 (1964) : 남한 최초 , 전기~ 후기 모두 출토 경기 연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