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도 읽는다/공중보건

공중보건 공부 - 보건통계

728x90
반응형


1. 국가별(국가간) 출산력 수준을 비교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사용되는 인구 재생산 지표는 (_____________) 이다



2. 척도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척도로서 명목척도, 순서척도, 간격척도의 구분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비교가 가능한 것은 (_____________)이다.



3. 비확률표본추출: (_____________), 유의표본추출, 눈덩이표본추출, 할당표본추출, 지원자표본추출 등



4. 사망자료: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사망신고자료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여 생산된 자료이므로 다른 2차 자료원보다 (__________)이  높다는 큰 장점이 있다.


5. (_____________)은 총출생아수 중 생후 1년 미만의 일정한 연령군을 대상으로, 감염, 영양, 산전 및 산후 관리, 사고 등 외인성 요인들이 어느 정도 관리되고 있는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아서 국가 간 의료서비스를 비교하는 지표로 가장 흔히 사용된다.


6. 감염병의 유행기간(이환기간)이 짧을 때: 발생률과 유병률이 (_____________)


7. 비례사망지수는 주어진 기간의 총사망수에서 (_____________)의 사망자 수가 차지하는 분율이다.


8. (_____________) : 어떤 집단이 한정된 기간에 어떤 질병에 걸릴 위험에 폭로되었을 때 폭로자 중 새로 발병한 총 수의 비율이다.


9. 측정대상자의 특성이나 성질을 상호배타적인 범주로 나타낸 척도가 (_____________)이다.


10. (_____________)은 지역별로 사망률을 비교하고자 할 때 지역간 연령별 인구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비교집단의 인구구성을 비슷하게 표준화하여 나타낸 사망률이다.


11. (_____________)은 개인이나 집단의 건강에 관한 지식, 태도, 행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12. (_____________)의 기능 - 보건사업의 행정활동에 지침이 될 수 있다. 보건사업의 성패를 결정하는 자료가 되고 보건사업의 기초자료가 된다.


13. (_____________)은 어느 해 출산아 수(태아사망 포함) 중 임신 28주 이후의 사산과 출생 1주 이내의 사망자수의 천분비이다.


14. (_____________) : 모집단이 가진 특성을 파악하여 성별, 연령, 지역, 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계층을 나눠 서 각 부분집단에서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하는 방법


15. (_____________)은 질병이 없는 인구를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발생률의 분모에는 조사 기간 이전에 발생한 환자수는 포함되지 않는다.


16. (_____________) 은 환자와 접촉한 감수성자 수 중 발병한 환자수로 나타내며, 질병의 감염력(전염력)을 의미한다. 질병의 위중도(중증도)를 의미하는 것은 치명률이다.
        치명률은 어떤 질병이 생명에 영향을 주는 위험도와 그 질병에 대한 치료법의 발달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17. 미숙아는 임신 (___) 미만의 출생아 또는 출생시 체중이 2,500g 미만인 영유아이다.


18. (_____________) 가 1에 가까울수록 해당 국가의 보건수준이 좋다.


19. (_____________) : 병원의 경영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병원통계자료로서 총재원일수를 연 가동 병상수로 나눈 지표


20. (_____________) =연간 총사망자수에 대한 50세 이상 사망자수(%)

















정답










1. 합계출산율



2. 비율척도

비율척도에서의 0은 진정한 개념을 포함하는 절대영점이므로, "50km 거리의 2배는 100km이 다.' ."라는 비교가 가능하다.
측정값 간의 가감승제가 가능하다(모든 산술적인 계산이 가능하다). 또한 두 측정값의 비가 의미 있는 값이 된다.


3. 편의표본추출



4. 완전성

각종 2차 자료의 특징
(1) 사망자료: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사망신고자료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여 생산된 자료이므로
다른 2차 자료원보다 완전성이 높다는 큰 장점이 있다.

(2) 건강보험자료: 건강보험제도에서 의사들이 기재한 진단명에 따라 검사와 치료 내용에 대하여 심사하고,
부적절 또는 과잉진료로 판단되는 경우 청구 진료비 삭감 등의 불이익을 주고 있어, 때로는 확진된 질병명보다 수행한 검사 항목에 맞추는 진단명을 기재할 수 있기 때문에 건강보험 자료는 병원자료보다 정확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건강보험자료는 전 국민 건강보험제도 시행 이후 긴 시간이 흐르고 대규모 자료가 축적되어 온 점에서 중요성과 가치가 있다.

(3) 병원자료: 환자 진단 및 치료 결과를 기록하여 관리하는 자료로 임상역학연구인
사례연구와 사례군연구, 환자-대조군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다른 자료원에 비하여 진단명이 정확하며 특정 질병과 관련된 임상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버크슨 바이어스 등으로 인해 일반화가 어렵다.
병원자료는 대표성이 낮아 지역사회 전체 현황을 대표할 수 없고, 해당 질병의 발생률도 구할 수 없다.
역학 연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대조군이 있어야 하는데, 병원자료는 적절한 대조군을 찾기가 어렵다.

(4) 직장자료: 산업장과 학교, 군대 등에서 시행하는 정기적인 건강검진이나 특수질병조사자료와 의무실이나 보건실 등의
결근이나 결석 기록 등은 역학연구에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특정집단의 자료이고, 건강 근로자 효과 등으로 인해 일반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5. 영아사망률


6. 거의 같다.

발생률과 유병률과의 관계
(1) 발생률은 동적이며, 유병률은 정적이라 볼 수 있다.
(2) 급성 감염병의 역학적 특성: 발생률은 높고, 유병률은 낮다.
(3) 만성 감염병의 역학적 특성: 발생률은 낮고, 유병률은 높다.
(4) 감염병의 유행기간(이환기간)이 짧을 때: 발생률과 유병률이 거의 같다.

7. 비례사망지수는 주어진 기간의 총사망수에서 50세 이상의 사망자 수가 차지하는 분율이다.


8. 발병률 : 어떤 집단이 한정된 기간에 어떤 질병에 걸릴 위험에 폭로되었을 때 폭로자 중 새로 발병 한 총 수의 비율이다.


9. 명목척도
명목척도에는 성별, 직업, 혈액형, 인종, 종교, 운동선수의 등번호, 주민등록번호, 우편번호, 지역구분, 선거에서의 후보자번호 등이 있다.


10. 보정사망률(표준화사망률)


11. 보건교육은 개인이나 집단의 건강에 관한 지식, 태도, 행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12. 보건통계 의 기능(이용 활용 범위)

(1) 지역사회나 국가의 보건수준 및 보건상태의 평가와 비교에 이용된다.
(2) 지역사회주민의 질병발생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3) 지역사회의 중요한 보건문제를 파악할 수 있다.
(4) 지역사회 의료요구도를 파악할 수 있다.
(5) 보건사업의 필요성을 결정해 주고, 사업기획  · 진행  · 결과의 평가에 이용된다.
(6) 보건입법을 촉구하며, 보건사업에 대한 공공지원을 촉구하게 할 수 있다.
(7) 보건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보건사업 수행상 지휘 · 관제에 활용되며,
      보건사업의 절차 · 분류 등의 기술발전에 도움을 준다.
(8) 보건사업의 행정활동에 지침이 될 수 있다.
(9) 보건사업의 성패를 결정하는 자료가 되고 보건사업의 기초자료가 된다.

13. 주산기사망률


14. 층화표본추출법


15. 발생률


16. 2차발병률


17. 37주


18. 알파인덱스 = 영아사망수 / 신생아사망수
알파인덱스의 수치가 높을 때는 후천적으로 해결 가능한 영아후기사망이 많다는 의미이므로, 모자보건이나 영아사망 대책이 필요하다.


19. 병상이용률 (병상가동률) = ( 총재원일수 / 연가동병상수 ) * 100


20. PMI(비례사망지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