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도 읽는다

재정독립과 경제적 자유를 위한 공부

728x90
반응형

내가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한 선결 조건, 재정독립

재무적 관점에서 생각하는 재정독립은 기본적으로 수익이 지출보다 큰 상태, 즉 내가 버는 돈이 쓰는 돈보다 많아서 통장 잔고가 계속 늘어나는 상태를 칭합니다. 이때 수입은 인플레이션 효과를 고려한 화폐가치 면에서 일정 수준을 유지할 만큼 충분히 많아야 합니다. 또한 보유 자산을 증가시키고 부채는 줄여나가는 노력을 계속하는 것도 재정독립의 요건이 됩니다.

재무적 관점에서 봤을 때 재정독립에 필요한 자산은
'자본 자산', 즉 수익을 창출하는 자산
채권이나 주식, 부동산은 각각 이자와 배당, 임대료와 같은 수익을 만들어내는 자본 자산의 예


돈과 인간, 자신의 속성을 파악하기

첫째, 돈의 속성을 이해하라
돈은 항상 대가를 원하는 성격이 있고, 그 대가는 시간이 지나면서 또 위험하다는 곳에 사용될수록 커지는 속성을 띱니다. 그리고 이 대가들은 이자, 배당, 자본수익 등과 같은 용어로 표현됩니다. 누군가에게 돈을 빌려주고 일정 기간이 지난 뒤 돌려받을 때 그에 대한 대가로 덧붙는 것이 이자입니다. 또 사업을 하는 회사에 돈을 투자하고 이후 수익이 발생하면 그 중 나의 지분에 해당하는 만큼으로 받는 대가가 배당이지요.
돈의 또다른 특성이 있습니다. 절대 혼자가 아니라 그 소유자, 즉 우리와 항상 함께 있다는 점이 그것입니다.
어떤 소유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그 돈의 운명도 달라집니다. 돈을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 소유자들은 그것을 모아 힘을 키우기 위해 회사를 설립하거나 펀드를 만듭니다.
내가 가진 돈을 성장시키려면 그러한 큰돈의 무리들이 어디로 어떻게 투자되고 흘러가는지를 잘 파악해야 합니다.
전 세계 자본 시장을 움직이고 기업들의 가치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 바로 그 무리들이기 때문입니다.

둘째, 인간의 속성을 이해하라
지난 30년간 전 세계에서는 여덟 건 정도의 대규모 금융위기가 발생했습니다.
한국에 직접적 영향을 끼친 것은 그중 절반에 불과하기 때문에 우리 가잘 모르는 것도 있지만, 그 여덟 가지를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1980년대 초: 미국에서 발생한 저축대부조합(Savings & Loan) 위기
저축대부조합들은 1980년대 초 자기자본비율 완화, 이자율제한 폐지 등 규제가 완화 되면서 고수익-고위험 투자에 손을 대기 시작하여
특히 텍사스 지방의 부동산 투기에 많은 자금을 공급하였는데, 부동산 투기업자들도 텍사스의 저축대부조합들을 인수하여 투기자금을 조달하고자 하였음.
저축대부조합들은 투기업자에게 이자에 해당하는 자금을 다시 대출해주는 위험한 대출방식을 유지했는데,
이는 텍사스에서 부동산 매입자금을 초과한 대출이 제도적으로 가능했기 때문임.
그러나 1983년 이후 부실채권이 급증하기 시작했고 1987년에는 텍사스 소재 280개 저축대부조합 중 약 60개가 지급불능상태에 처하였으며,
이후 1988년부터 1991년까 지 전국적으로 869개의 저축대부조합들이 파산하여 정부의 자금지원과 연준의 금리 인하를 초래함.
한편 미국 주가는 1982년부터 약 250% 상승한 이후 1987년 10월 19일(블랙먼데이)
하루에 22.6% 폭락하였으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데 1년 3개월이 소요됨.
출처 -금융포커스
  • 1989년: 미국의 블랙먼데이(Black Monday)에서 시작된 실물경제 위기
  • 1994년: 페소화의 가치폭락으로 발생한 멕시코 페소화 위기

출처 - 중앙일보

  • 1998년: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발생한 외환위기
  • 2001년: 미국의 닷컴 버블 붕괴로 인한 위기
  • 2008년: 미국의 리먼 브라더스의 부도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
  • 2010년: 남유럽에서 시작된 유럽 재정위기
  • 2015년: 중국의 경착륙 위기


이 목록을 보면 위기가 거의 주기적으로 발생함을 알 수 있습니다.근본적인것 중 하나는 인간의 속성과 관계가 있습니다. 행동재무학 분야에서는 욕심(greed)와 공포(fear) 때문에 발생하는 자산 가격의 과도한 상승과 하락의 사이클이 이런 위기를 주기적으로 일으킨다고 이야기합니다.

행동재무학 (behavioral finance)
투자자의 행동과 재무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학문.
전통적 재무학 혹은 경제학과 달리 '투자와 관련된 인간의 의사결정은 비합리적으로 이뤄지는 것'이며 시장 참가자들의
과도한 욕망과 공포자본 시장의 가격의 폭등과 폭락을 만들어낸다고 본다.

셋째, 자신의 기질을 알고 수정하라
모든 이들이 투자에 성공해 큰 수익을 내는 것은 아닙니다. 과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제가 내린 결론 중 하나는 '투자에 성공하는 사람들에겐 일반인들이 갖지 못한 독특한 기질'이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재정독립을 위한 단계별 접근

연령대별 실천 전략

20대 : 투자·경제·금융·산업의 기본적 메커니즘을 학습한다.
·30대 : 소액 투자로 투자 경험을 쌓는다.
·40대 : 이론과 실전의 반복과 비교를 통해 나만의 규칙을 만들어낸다.
·50대 : 삶에서의 성숙함이 더해진 진정한 투자를 시작한다.
·60대 : 증식된 자산을 수확 시점에 매각하여 현실화한다.

마음에 새겨야 할 세가지
첫째는 '무조건 일찍 시작할 것', 둘째는 '주변의 시선과 압박에 흔들리지 말고 자신의 주관대로 밀고 나갈 것', 셋째는 '작고 단기적인 결과들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꾸준히 진행할 것'
입니다. 이렇게 할 때에만 자신의 투자 신념과 관점을 투자철학이란 형태로 완성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주의 깊게 봐야 할 거대환경의 변화

①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케인스학파의 재정주의자들은 진보주의적 경제학파로 분류되고, 미국의 경우 이들이 내놓는 정책들은 주로 민주당이 정권을 잡고 있을 때 많이 채택됩니다.
적극 개입하는 형태이기에 '큰 정부'를 지향

밀턴 프리드먼을 중심으로 하는 통화주의자들은 보수주의적 경제학파로 분류되고, 미국의 경우 보수성을 띠는 공화당이 집권할 때 통화주의적 패러다임이 채택됩니다.
기본적으로 감세 정책을 취합니다.

② 기술 패러다임의 변화

헬스케어 분야에서 나타나는 기술 패러다임의 변화도 눈여겨볼 만합니다.
2016년경 미국 나스닥에는 텔라닥(Teladoc)이라는 원격진료 회사가 상장되었습니다.
상장 당시의 주가는 15달러 정도였는데 저는 어느 정도시간이 지나면 크게 성장할 것이라 확신하며 지켜봤지요. 아니나 다를까 2000 년 하반기인 지금은 당시 상장가보다 열 배 이상의 가격으로 거래되고있 는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대면 진료가 본격적으로 도입된 직후에는무 려 20배 이상으로 폭등하기도 했습니다.

텔라닥 헬스 Teladoc Inc (TDOC) NYSE
2002년에 설립된 세계 최대의 원격진료 관련 기업
B2B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안정적인 월간 구독료 모델을 기반으로 수익성을 끌어 올리고 있습니다

출처-https://kr.investing.com/equities/teladoc-inc

③ 인식 패러다임의 변화
소유가 아닌 공에 대한 인식이 최근 몇 년간 사람들 사이에서 퍼지고 있는 것을 보면 말입니다.
차량이나 집, 사무실, 주방 등은 물론 의류와 핸드백에 이르기까지, 내 몸과 마음을 제외한 거의 모든 것을 공유하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놀이에 대한 인식도 마찬가지입니다. MZ세대는 가상의 세계에서 생일파티를 하는가 하면 자신 대신 아바타를 회의에 참석 시키기도 합니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세계관인 '메타버스'를 바탕으로 하는 방식이지요.

⑤ 투자 패러다임의 변화
최근 각광받는 투자 패러다임 중 하나는 ESG 투자입니다. ESG는 환경 (environment)과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합니다.
세계 최대의 자산운용인 블랙록(Blackrock)이 'ESG 철학을 침해하는 화석연료 기업에는 앞으로 투자하지 않겠다'고 선언할 만큼 ESG 투자는 현 시대의 큰 패러다임입니다. 투자자는 이런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특정 자산이나 기업의 가치가 하락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하지만, 그와 반대로 수혜를 입는 자산과 기업도 있으니 동전의 양면과 같은 양상을 주의깊게 살펴야 합니다.








자료출처 - SK바이오투자센터장 이동훈의 투자 수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