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대원군 집권기
1863-1873
내정
- 왕권강화정책
세도정치 타파
비변사 혁파(1865) > 의정부,삼군부 강화
법전 편찬 : 대전회통,육전조례
경복궁 중건(1865-1868) : 원납전 징수,당백전 남발
-민생 안정책
양전 사업
호포법 실시
사창제 실시
서원 철폐
외정
-통상 수교 거부
병인박해(1866.1)
제너럴 셔먼호 사건(1866.7)
병인양요(1866.9)
오페르트 도굴 사건(1868.4)
신미양요(1871.4)
고종친정기
1873-1897
조약체결
-강화도조약(1876.2)
윤요호사건(1875) 계기, 최초의 근대적 조약,불평등 조약(부산,원산,인천 개항,치외법권,자유무역),부속조약 체결(조일수호조규부록,조일무역규칙),조일수호조규속약(1882.7.17),조일통상장정(1883.6.22/방곡령,관세권,최혜국대우)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4.6) : 거주조정,치외법권,최혜국대우,서양과 맺은 최초의 불평등 조약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1882.8.23) : 영사재판권,양화진 개방
개화정책
- 해외 수신사,사찰단 파견 : 1차 수신사(일본,1876.4), 2차 수신사(일본,1880.5,김홍집이 <조선책략(친중국,결일본,연미국)>을 들여옴, 3차 수신사(일본,1882.8.사죄사,태극기사용),조사시찰단(일본,1881.4),영선사[청,1881.9 기기창 설립(1883)],보빙사(미국,1883.6~9)
-통리기무아문 설치(1880),5군영을 2영(무위영,장어영)으로 축소, 신식군인인 별기군 창설
-박문국 설치[한성순보(1883~1884) 간행,갑신정변 이후 한성주보(1886)],유학생 파견,우정국 설치
위정척사운동
1860년도 통상반대운동 : 척화주전론,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 지지,이항로,기정진
1870년대 개항반대운동 : 개항불가론,최익현[5불가소(외양일체론)]
1880년대 개화반대운동 : 개화반대론,<조선책략>에 대한 반발,영남만인소,만언척사소,이만소,홍재학
1890년대 이후 항일의병운동 : 을미의병(1895),을사의병(1905),정비의병(1907),유인석,기우만
중요 사건들
- 임오군란(1882.6)
구식군인과 도시하층민들의 봉기 > 청의 내정간섭 강화,제물포조약 체결(1882.7,일본 공사관 경비병 주둔 인정),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 갑신정변(1884.10)
신분제 폐지,입헌군주제 지향,재정일원화,사대관계 폐지,조세제도 개혁 등 > 한성조약(1884.11),톈진조약(1885.3,일본이 청과 동등하게 조선에 대한 파병권 획득),청의 내정간섭 강화
- 거문도 사건(1885-1887,영국이 러시아의 조선침투 견제),중립화론(1885,부들러,유길준)
- 함경도 관찰사 조병식 방곡령 선호(1889) > 실패
- 동학농민운동(1894) : 보국안민,척왜양창의,고부봉기 - 4대강령 발표(백산)-황토현전투-전주화약-일본의 경복궁 침입과 청일전쟁-제2차 봉기(공주 우금치 패배),폐정개혁 12개조,집강소 설치,반봉건,반외세
-갑오,을미개혁(1894.6-1895) : 군국기무처 설치(1차),김홍집내각(1~4차),왕권 제한,재정 일원화,은본위제도 실시,조혼 금지,과부개가 허용,고문과 연좌제 폐지,홍범 14조 발표,단발령 시행,태양력 사용,연호 사용(1차'개국',을미개혁'건양')
- 삼국간섭(1895.3),을미사변(1895.8),춘생문사건(1895.10),아관파천(1896.2)
- 독립협회(1896.7 ~1898.12) : 초반에 관료들 참여,만민 공동회 개최,관민공동회, 헌의6조,의회 설립운동(실패),입헌군주제 지향,자주국권,자주 민권,자강개혁,대한제국의 탄압으로 해산(황국 협회 이용)
대한제국기
1897-1910
대한제국
- 정치 : 1897년 10월 성립, 국호는 대한제국,연호는 광무,화에국 체제,구본신참(복고적,점진적 개혁 추구),교전소 설치(이후 법전교정소로 전환),대한국 국제 제정(1899. 전제 군주제 규정), 무관학교와 원수부 설치
- 경제 : 양전지계사업(1899-1904),도량형 통일(1902,평식원 설치)
- 외교 : 간도 관리사 파견(1903)
의병활동
- 을미의병(1895) :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반발하여 거병,보수적 유생충 중심,국왕의 명령으로 해산
- 을사의병(1905) : 을사조약에 반발하여 거병,신돌석 등 평민의병장 출현
- 정미의병(1907) : 고종의 강제퇴위,한일신협약에 반발,해산된 군대가 참여하여 본격적 전쟁 양상,평민의 활발할 활동,13도 창의군 결성하여 서울 진격 작전 전개 > 실패
- 일제의 남한대토벌(1909)
애국계몽운동
- 보안회(1904) :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저지
- 헌정연구회(1905) : 입헌군주제 지향,일진회 비판,통감부에 의해 해체됨
- 대한자강회(1906) : 고종의 강제퇴위 반대,일진회 규탄,대한협회로 계승됨
- 신민회(1907-1911) : 공화정체를 지향한 비밀결사, 문화적,경제적 실력양성 추구(기간지 대한매일신보,대성학교,오산학교,태극서관),군사적 실력 양성전개(이동녕 등이 서간도 삼원보에 신한민촌,신흥강습소 건설),105일 사건(1911)으로 해체됨
- 국채보상운동(1907): 대구에서 시작(서상돈,김광제 등),서울에서 국채보상기성회 조직, 언론사와 애국계몽단체 참여, 통감부의 방해로 실패
언론
- 독립신문(1896-1899) : 순한글,영문판,최초의 근대적 일간지,민간신문,대중계몽,서양문물 소개
- 황성신문(1898-1910) : 국한문 혼용,유림층 대상, 구본신참 표방,을사조약 발표 후 장지연이 '시일야방성대곡'개재
- 제국신문(1898-1910) : 순한글,부녀자와 하층민 대상, 신교육,국민계몽강조
- 대한매일신보(1904-1910): 순한글,국한문 혼용,베델이 창립,반일,의병투쟁에 호의적, 국채 보상 운동 주도
- 만세보(1906-1907) : 순한글,손병희, 오세창,이인직 중심, 천도교 기관지
- 대한민보(1909-1910) : 순한글, 오세창 중심,대한협회의 기관지
국권피탈
-정치 : 러일전쟁(1904.2) - 한일의정서(1904.2,일본이 군사 전략상 필요한 곳을 마음대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함) - 제 1차 한일협약(1904.8,고문정치) - 열강의 승인[가쓰라태프트 밀약(미국,1905.7) 제2차 영일동맹(1905.8) 포츠머스강화조약(러시아,1905.9) -을사조약(1905.11,외교권 탈취,통감정치) - 헤이그 특사 파견(1907.6) 고종퇴위(1907.7.31) - 기유각서(1909,사법권 탈취)-경찰권 탈취(1910.6)-한일합방(1910.8)
-경제 : 화폐정리사업(1905),재정정리사업(1905),동양척신주식회사 설립(1908),차관제공,토지 약탈
1910년
- 현병경찰통치
조선 총독부(일제 식민 통치의 최고 기가관),중추권(자문기구) 설치
즉결처분권,조선태형령(1912)
관리,교원까지 칼과 제복 착용
제 1차 조선교육령(1910~1922)
- 경제수탈
토지조사사업(1912~1218)
삼림령(1911),임야조사령(1918)
회사령(1910),어업령(1911),광업령(1915)
조선식산은행(1918)
민족독립운동
(국내)
독립의군부(1912),송죽형제회(1913),조선국권회복권(1915),대한광복회(1915),조선국민회(1915),자립단(1915),선명단(1915)
3.1운동(1919)
(국외)
북만주 : 한흥동(1909)
남만주(서간도):삼원보,신한민촌,경학사(1911),신흥무관학교(1919),한족회
북간도:서전서숙(1906),명동학교(1908),중광단(1911),간민회(1913),대한독립선언(1919.2)
중국관내 : 동제사(1912),대동보국단(1915),신한혁명당(1915),대동단결선언(1917),신한청년당(1918),대한민국임시정부(1919)
블라디보스토크 : 한민회(1905),13도의군(1910),성명회(1910).권업회(1911),대한광복군정부(1914),고려족중앙총회(1917,반볼셰비키),한족중앙총회(1918),한인사회당(1918),대한국민의회(1919)
미주:대한인국민회(1910),홍사단(1913),대조선국민군단(1914),구미위원부(1919)
멕시코:승무학교(1910)
일본:2.8독립선언(1919)
1920년대
- 민족분열통치
내용 실상
문관 총독 임명 규정 > 실제로 문관총독 임명 없음
보통경찰제 시행 > 경찰의 관서,수 증가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보장 > 사전검열,정간,삭제
조선인의 교육기회 보장(제2차 조선교육령,1922~1938) > 초급교육,기술교육 실시 경성제국대학 설립(1924)
치안유지법 제정(1925)
- 경제수탈
산미 증식 계획(1920~1933)
회사령 철폐(1920)
연초전매령(1921)
일본상품의 관세 철폐(1923)
신은행령(1928)
민족 독립운동
(국내)
무장항일투쟁 : 천마산대(1919),보합단(1920),구월산대(1920)
학생운동 : 6.10 만세운동(1926),광주학생항일운동(1928)
실력양성운동 : 물산장려운동,민립대학설립운동 > 실패로 자치론 대두
문맹퇴치운동 : 문자 보급 운동(1929),브나로드 운동(1931)
사회주의 : 조선공산당(1925~1928)
민족유일당 : 신간회,근우회1927~1931)
기타 : 조선형평사(1923),조선청년총동맹(1924),조선농민총동맹,조선노동총동맹(1927),원산노동지총파업(1929)
(국외)
대한민국 임시정부(1919~1945) : 연통제,교통국,국민대표회의(1923)
의열단(1919),조선혁명선언(1923)
만주 : 서로군정서(1919),북로군정성(1919),대한독립군(1919),봉오동전투(1920),청산리전투(1920),간도참변(1920),대한독립군단(1920)
3부 성립(만주) : 참의부(1923),정의부(1924),신민부(1925),미쓰야협정(1925,3부탄압),3부 해체 > 혁신의회(1928),국민부(1929)
만주지역 정당조직 : 조선혁명당(1929,국민부 산하),한국독립당(1930,혁신의회 산하),한국 독립당(1930,임정세력)
1930년대 이후(~1945년)
-민족말살 통치
만주사변(1931),중일전쟁(1937),태평양전쟁(1941) > 인적,물적 자원 총동원(1938년 국가 총동원법)
조선 사상범 보호 관찰령(1936),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1941)
황국신민화 : 내선일체, 일선동조론,황국신민서사 암송, 창씨개명 강요,민족언론폐간(1940)
교육: 제 3차 조선교육령(1938~1943),제 4차 조선교육령(1943~1945),제 5차 조선교육령(1945),국민학교령(1941),우리말,우리글 사용금지,우리역사 교육금지
역사왜곡 : 청구학회(1930),당파성론,타율성론,정체성론,만선사관
-경제수탈 : 병참기지화
1931~1937 : 남면북양정책,농촌진흥운동(1932)
중일전쟁 이후(1937 ~) : 국가 총동원법 제정(1938),미곡공출제,식량 배급제 실시, 육군 특별 지원병 제도(1938),학도지원병제도(1943),강제 징병제(1944),국민징용령(1939), 여자 정신대 근무령(1944)
민족 독립운동
(국내)
조선어 학회(1931, 1921년의 조선어 연구회 계승)
역사연구
민족주의 : 박은식(1915 한국통사,1920 한국독립운동지혈사,'혼'),신채호(1929 조선사연구초, 1931 조선상고사,'낭가사상'),정인보(5천 년간 조선의 얼),문일평('조선심'),조선학운동(1934)
사회경제사학:백남운(조선사회경제사,조선봉건사회경제사)
실증사학 : 이병도,손진태,진단학회(1934)
신민주주의 사학 : 손진태 안재홍
(국외)
한인애국단(1931): 이봉창의 의거(1932),운봉길의 의거(1932)
만주 한중연합작전 : 한국독립군(중국호로군,1932 쌍성보, 1933 대전자령), 조선혁명군(중국의용군,1932 영릉가, 1933 흥경성)
민족연합전선 : 조선민족혁명당(1935), 한국국민당(1935,임정고수파),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1937),조선민족전선연맹(1937),조선의용대(1938),전국연합진선협회(1939)
공산주의계 : 동북인민혁명군(1933),동북항일연군(1936),조국광복회(1936),보천보전투(1937)
1940년대 독립전쟁
-대한민국임시정부(충칭) : 한국독립당(1940),건국강령 반포(1941.11),조선민족혁명당 합류(1942),1940년 한국광복군 창설(1941 대일 선전포고, 1943 영국군과 연합, 1944 미국군과 합동작전, 국내 진입작전 시도)
-화북조선독립동맹과 조선의용군(1942)
'오늘도 읽는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뒤센미소 (진짜 미소) 와 팬암미소 (가짜 미소) (0) | 2021.10.24 |
---|---|
근현대 -2 (0) | 2021.07.04 |
조선 연표 (0) | 2021.07.01 |
경찰학개론 각론 정리 1 - 제 2절 범죄예방정책업무 (0) | 2021.06.28 |
외울때까지 암기 (0) | 2021.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