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도 읽는다

근현대 -2

728x90
반응형


해방공간

1945-1948

남한)
카이로 회담(1943)
>한국 독립 최초 약속
얄타회담(1945.2)
>신탁통치 최초언급
포츠담 선언(1945.7)
>한국의 독립 재확인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1945.815) > 여운형,조선 건국 동맹(1944)이 모체가 됨 > 조선인민 공화국 선포(1945.9.6),김성수,송진우 등 우익 불참
모스크바 3상회의(1945.12)
>찬,반탁 운동 야기
제 1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6.3.5) > 결렬
조선 정판사 위폐사건(1946.6)
좌우합작위원회 결성(1946.7) > 여운형,김규식 등 중도파 중심, 미군정 지원
좌우 합작 7원칙 발표 (1946.10)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창설(1946.12)
여운형 암살(1947.7)
제 2차 미소공위 결렬 (1947.10)
좌우합작운동 실패(1947.12)
유엔 총의 결의 (1947.1.1) > 유엔 감시하 남북 총선거
유엔소총회 결의(1948.2.26) > 남한만 총선거 결의
김구의 '삼천만 동포에게 읍고함'(1948.2.10)> 단정수립 반대
제주 4.3 사건(1948.4.3)
5.10 총선거(1948.5.10)
헌법 제정(1948.7.17)
정부수립(1948.8.15)
여.순 사건(1948.10.19)

경제
: 신한공사 설치(1946.2) > 적산몰수

~1948
[북한]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1946.2) > 토지개혁법 시행(무상몰수,무상분배)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수립(1948.9.9)

제 1공화국 이승만
1948-1960

반민족 행위 처벌법 제정(1948.9),반민특위 구성(1948.10) > 정부의 비협조, 친일파의 방해로 친일파 청산 실패
농지개혁법(1949.6 제정,1950.3 시행) : 유상몰수 , 유상분배
한국전쟁(1950~1953)
자유당 조직(1951.12)
부산정치파동(1952.5)
발췌개헌(1952.7) > 직선제,양원제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1953.10)
사사오입 개헌(1954.11) > 초대대통령에 한해 중임 제한 철폐
진보당 사건(1958.1) > 조봉암 사형(1959.7)
2.4 정치파동 > 신국가보안법 제정(1958.12.24) ,경향신문 폐간(1959.4.30)
3.15부정선거(1960.3.15)
4.19 혁명 촉발(1960) > 이승만 하야

경제
미국의 원조 > 삼백(제분,제당,섬유)
산업성장

통일정책
이승만의 북진통일론
진보당의 평화통일론

[북한]

1950년대
한국전쟁(1950~1953)
김일성 1인 독재구축(연안파,소련파 등 제거)
8월 종파사건(1956) > 연안파 최창익,소련계열 박창옥 등이 당적을 박탈 당함

경제
3개년 경제계획(1954)
5개년 경제계획(1957~1961) > 협동농장,천리마운동 등

제 2공화국 장면내각
1960-1961

허정과도정부의 3차개헌 > 내각제,양원제
민주당정부 > 대통령
윤보선,국무 총리 장면
소급입법특별법 제정(1960.12)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립 > 5.16쿠데타로 좌절
지방 자치제 전면 실시

[북한]
1960년대

4대군사노선 채택,주체노선 강조

제 3.4공화국 박정희
1963~1972,1972~1979

5.16군사쿠테타(1961.5.16) > 국가재건최고회의,중앙정보부 설치(1961.6.10)
5차 개헌(1962.12. 대통령 중심제) : 박정희가 대통령에 당선(1962) > 제3공화국 출범
인민혁명당 사건(1964.8)
6.3사태(굴욕외교반대 시위,1964) > 1965년 한일협정 체결
베트남 파병(1965~1973) : 브라운 각서(1966)
주한미군주둔군지위협정(1966.SOFA)
1.21 사태(1968.1), 푸에블로호 납치 사건(1968.1),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 사건(1968.10)
국민교육헌장(1968)
교련 부활(1969) > 교련 반대 투쟁(1971)
3선 개헌(1969)
8.15 선언(1970)
전태일 분신(1970)
남북적십자회담 제의(1971)
7.4 남북공동성명(1971) : 자주,평화,민족 대단결
8.3경제특별조치(1972) : 사채동결
10월 유신(1972) : 대통령에게 초법적 비상대권 부여 > 제 4공화국 시작(간선제,통일주체국민회의,국회해산권,법관인사권,긴급조치권)
6.23 선언(1973) :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제의
김대중 납치 사건(1973.8.8)
평화통일 3대원칙(1974) : 남북 상호 불가침,남북대화 추진,인구비례에 의한 총선거 실시
개헌 청원 100만인 서명 운동(1973.12), 민청학련사건(1974.4),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조직(1974.9),민주회복국민회의(1974.11),자유실천문인협의회 165인 선언(1975.3.15), 3.1구국선언(1976.3.1) > 유신체제 반대 운동
제 2차 (재건) 인민혁명당 사건(1975.4.9)
부마항쟁(1979.10).10.26사태 > 유신체제 종말

경제
경제개발 5개년 계획
1960년대(기간산업육성 및 경공업 신장)
제1차 : 1962~1966
제2차 : 1967~1971
1970년대(중화학공업 중심)
제3차 : 1972~1976
제4차 : 1977~1988
경부고속도로 개통(1970)
지하철 1호선 개통(1974)
수출 100억 달러 달성(1977)
통일벼 개발(1971)

[북한]

1970년대
7.4 남북공동성명(1972)
사회주의 헌법 제정(1972) > 김일성 독재 제도화

경제
3대 혁명 소조운동(1973)
3대 혁명 붉은기 쟁취운동(1975)

제 5공화국 전두환
1981~1988

최규하가 대통령으로 선출(1979.12)
12.12사태(1979 > 전두환 등 신군부가 정권 장악
서울의 봄(1980.5.15)
5.18민주화운동(1980)
신군부의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구성(1980.5)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전두환 대통령 선출(1980.9)
8차 개헌(1980.10.간선제,7년 단임제) 이후 민주정의당 창당,전두환 대통령 선출(1981.2)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1982.1)
이산가족 고향방문(1985)
6월 항쟁(1987) > 직선제 개헌 요구 > 6.29선언(9차 개헌 : 5년 단임 직선제)

경제
3저 호황(저유가,저달러,저금리)으로 물가안정,무역수지 흑자

[북한]
1980년대

권력의 부자세습 추진

경제
1980년대부터 개방 정책(우리식 사회주의 세우기)
합영법(1984)

제 6공화국 노태우
1988-1993

서울올림픽(1988)
7.7 선언(1988)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1989) > 과도기로 남북 연합구상
전국 교직원 노동조합 출범(1989)
3당 합당(1990) > 민주 자유당 출범
소련과 수교(1990)
남북유엔동시가입,남북기본합의서(1991),비핵화선언(1992)
중국과 수교(1992) > 동구권,소련수교 등과 더불어 북방정책의 일환

[북한]

1990년대

남북유엔동시가입,남북기본합의서(1991)
김일성 사망(1994) > 김정일이 권력 승계

경제
합작법(1992)
나진,선봉 경제특구 설치

문민정부 김영삼
1993~1998

전면적인 지방자치제 실시(1995)
공직자 재산 등록 의무화(1993)
금융실명제(1993)
제 3단계 3기조 통일 정책(1993)
민족공동체 통일 방안(1994) > 자주,평화,민주

경제
OECD 가입(1996)
외환위기(1997,IMF사태)

국민의 정부 김대중
1998-2003

남북정상회담
6.15남북 공동선언(2000) > 남측의 연합제안과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안의 공통성 인정
경의선 철도 개통

[북한]

2000년 이후

개성고업지구법 공표(2002) > 남한기업 대상 공단가동
김정은 권력 승계(2011)

참여정부 노무현
2003~2008

제2차 남북정상회담
(2007.10.4)

이명박 정부
2008~2013

천안함 사건(2010)
연평도 포격 사건(2010)

박근혜 정부
2013~2017.3

2017년 3월 탄핵,파면

문재인 정부
2017.5~

4.27 판문점 선언(2018)
9월 평양 공동 선언(20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