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도 읽는다/한국사

[ 고종훈 한국사 사료분석 ] 전근대편

728x90
반응형


부여의 법
1. 살인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을 데려다 노비로 삼는다.
2. ❶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물건 값의 12배를 배상한다.
3. 간음한 자는 사형에 처한다.
4. ❷ 투기가 심한 부인을 사형에 처하되 그 시체를 서울 남쪽 산 위에 버 려서 썩게 한다. 단, 그 여자의 집에서 시체를 가져가려고 할 때에는 소 와 말을 바쳐야 한다.

도둑질하면 12배 배상 ❶ 부여는 절도죄에 대해 12배로 배상하게 하였는데, 고구려의 법률에도 영향을 미쳤다.
                                   ❷ 가부장적 사회 모습과 일부다처제 사회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부여의 풍속
이 나라는 구릉과 넓은 못이 많아 동이 지역 가운데 가장 넓고 평탄한 곳이다. 토질은 오곡을 가꾸기에 알맞지만, 과일은 생산되지 않는다.
❶ 사람들 체격이 매우 크고 성품이 강직 용맹하며 근엄하고 후덕하여 다른 나라를 쳐들어가거나 노략질하지 않았다. …… ❷ 은력(殷暦) 정월에 하늘에 제사를 지내며 나라에서 대회를 열어 연일 마시고 먹고 노래하고 춤추는데, 영고(迎鼓)라고 한다. 이때 형옥(刑獄)을 중단하여 죄수를 풀어 주었다. 전쟁이 일어났을 때에는 제천 의식을 행하고, 소를 죽여 그 굽으로 길흉을 점치기도 하였다.……… 옷은 흰색을 숭상하며, 흰 베로 만든 큰 소매 달린 도포와 바지를 입고 가죽신을 신는다. …… 사람이 죽으면 여름철 에는 모두 얼음을 사용하여 장사를 지냈다. ……장사를 후하게 지냈으며, 곽(柳)은 사용하였으나 관(棺)은 쓰지 않았다.…… 한나라 때에는 부여왕의 장례에 옥갑(玉匣)을 사용하였는데, 언제나 [옥갑을] 현토군에 미리 갖다두었다가 왕이 죽으면 그것을 가져다 장사지냈다.

영고, 우제점복, 흰옷, 왕의 장례에 옥갑 사용
❶ 부여는 중국과 외교 관계를 맺고 군사적으로 충돌하지 않았으므로 우호적으로 묘사되었다.
❷ 수렵사회의 전통이 남아 있던 부여에서는 12월에 제천을 거행 하였다.

출처 - 위키백과

옥저의 풍속
고구려 개마대산 동쪽에 있는데 개마대산은 큰 바닷가에 맞닿아 있다. 토질은 비옥하며, 산을 등지고 바다를 향해 있어 오곡이 잘 자라며 농사짓기에 적합하다. …(중략)… 소나 말이 적고, 창을 잘 다루며 보전(步戰)을 잘 한다. 음식. 주거. 의복. 예절은 고구려와 흡사하다. 그들은 장사 지낼 적에는 큰 나무 곽을 만드는데, 길이가 10여 척이나 되며 한쪽 머리를 열어 놓아 문을 만든다. ❶ 사람이 죽으면 시체는 모두 가매장을 하되 겨우 형체만 덮일 만큼 묻었다가 가죽과 살이 다 썩은 다음에 뼈만 추려 곽 속에 안치한다.

가족 공동 무덤(골장제)
❶ 옥저는 장례 풍습으로 골장제(가족 공동 무덤)가 있었다.

옥저의 민며느리제
여자가 10살이 되면 혼인을 허락한다. 남편이 될 사람이 여자를 자기 집으로 데려와 길러서 아내로 삼는다. 성인이 되면 다시 친정으로 돌려보낸다. 이때 여자의 집에서는 돈을 요구하는데, 돈이 지불되면 다시 사위 집으로 돌려보낸다.


출처-위키백과

충주(중원) 고구려비
5월 중에 고구려 대왕이 상왕공(相王公)과 함께 신라의 매금(寐錦 : 왕)을 만나 영원토록 우호를 맺기 위해 중원(中原)에 왔으나, 신라 매금이 오지 않아 실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고구려 대왕은 태자공 전부(前部), 대사 자 다우환노(多于桓奴)가 이 곳에 머물러 신라 매금을 만나게 하였다. ...(중략)… 신라 매금이 신하와 함께 고구려의 대사자 다우환노를 만나 이 곳에 주둔하고 있던 고구려 당주(幢主)인 발위사자 금노(錦奴)로 하여금 신라 국내의 중인(衆人)을 내지(內地)로 옮기게 하였다.

고구려 대왕, 신라 매금
충주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5세기 장수왕 때 고구려가 남한강 지역을 복속하고 세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고려대왕'이라 표현하고, 신라를 '동이', 신라왕을 '매금'이라 칭하는 것을 통해 당시 고구려 국력의 강대함과 독자적 천하관을 보여준다.


출처-지역N문화

만파식적
용이 검은 옥대(玉帶)를 바치며 말하기를, "대왕께서 이 대나무를 가지고 피리를 만들어 불면 천하가 화평할 것입니다.
❶ 대왕의 아버님께서는 바다 속의 용이 되셨고, 유신은 천신이 되셨는데, 두 성인이 저를 시켜 이를 바치는 것입니다. "라고 하였다. …(중략)… ❷ 왕이 행차에서 돌아와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었는데, 이 피리를 불면, 적병이 물러가고 병이 나으며, 가뭄에도 비가 오고 장마는 개며, 바람이 잦아들고 물결이 평온해졌다.

피리(만파식적)
❶ 문무왕은 죽어서 동해의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킬 것이라는 유언을 남겼다.
❷ 만파식적은 통일 신라 전제왕권의 상징이 되었다.

출처-나무위키

민정문서
사해점촌(沙割漸村)의 경우 ❶ 호는 11호인데 중하(中下) 4호, 하상(下上) 2호. 하하(下) 5호이다. 인구는 모두 147명인데 ❷ 남자는 (丁)이 29 명(노비1명), 조자(助子) 7명(노비1명), 추자(追子) 12명, 소자(小子) 10명, 3년간 태어난 소자 5명, 제공(除公) 1명이고 여자는 정녀(丁女) 42명(노비 5명) 조여자(助女子)9명, 소여자(小女子) 8명, ❸ 3년간 태어난 소여자 8명 (노비 1명), 제모(除母) 1명과 ❹ 다른 마을에서 이사 온 추자 1명, 소자 1 명 등이었다. 말은 22마리에 3마리가, 소는 17마리에 5마리가 보태졌다. 논은 102결 정도인데 관모전(官謀田) 4결, 내시령답(內視令沓) 4결, ❺ 촌민이 받은 것은 94결이 있었으며 그 가운데 19결은 촌주가 받았다. 밭은 62결, 마전(麻田)은 1결 정도이다. 잣나무는 862그루가 있었고 34그루를 심었다. 호두나무는 74그루가 있었고 382그루를 심었다.

자료해석
1. 발견 장소 : 일본의 동대사에 있는 정창원(1933)
2. 조사 지역 : 서원경(청주) 지방의 4개 촌락
3. 작성
시기: 경덕왕(8세기 중엽 추정)
목적: 노동력과 생산 자원의 편제. 관리 → 부역 동원과 조세 징수의 기준 마련
변동 사항을 조사하여 3년마다 다시 작성
4. 조사 대상 : 호구, 인구, 토지, 수목(뽕· 잣· 호두), 가축(소 말) 등
호구 : 사람의 다소에 따라 9등급
인구 : 연령, 성별에 따라 6등급
토지 : 내시령답, 관모답, 촌주위답, 연수유답(백성)
❶ 호는 상상부터 하하까지 9등급으로 구분하였다.
❷ 인구는 나이에 따라 6등급으로 구분하였다.
❸ 3년마다 민정 문서를 작성하였음을 추론할 수 있다.
❹ 촌민들은 거주지를 옮길 수 있었다.
❺ 연수유전은 농민의 사유지 및 경작지를 지칭하는 것이며, 촌주위답은 촌주에게 주어진 토지 를 말한다.

출처-2022 고종훈 한국사 사료분석 노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