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도 읽는다/헌법

헌법 오답노트 - 기본권 보호의무

728x90
반응형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 헌법 제10조는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를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다.
② 발전용원자로 및 관계시설의 건설허가 신청시 필요한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 및 그 초안을 작성하는 데 있어 '중대사고'에 대한 평가를 제외하고 있는 '원자력이용시설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은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를 위반한 것이 아니다.
③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선거운동 과정에서 후보자들이 확성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도 그로 인한 소음의 규제기준을 정하지 아니한 공직선거법 규정은 기본권보호의무를 위반한 것이 아니다.
④ 구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 제18조 제2항의 '민주화운동과 입은 피해' 중 불법행위로 인한 정신적 손해에 관한 규정을 하지 않은 것은 국가배상권을 침해하여 헌법에 위반되고 기본권 보호의무를 위반한 것이다.





정답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선거운동 과정에서 후보자들이 확성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도 그로 인한 소음의 규제기준을 정하지 아니한 공직선거법 제79조 제3항 제2호 중 '시· 도지사 선거' 부분, 같은 항 제3호 및 공직선거 법 제216조 제1항은 헌법에 합치되지 아니한다.(헌재 2019.12.27. 2018헌마730)[헌법불합치]
심판대상조항은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를 과소하게 이행한 것으로서, 청구인의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침해한다.


기본권의 의의와 분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 후보자의 당선을 무효로 하는 공직선거법 제265조 본문 중 '후보자의 배우자가 제257조 제1항 중 기부행위를 한 죄로
징역형 또는 300만 원 이상의 벌금형의 선고를 받은 경우'에 관한 부분은 연좌 제금자에 위반되는 것이 아니고, 자기책임원칙에 위반되는 것도 아니다.
② 제도적 보장은 헌법에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법률로써 이를 폐지할 수 없으나, 그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최소한 보장의 원칙"이 적용될 뿐이다.
③ 우리나라는 기본권 제한에 관한 일반적 헌법유보조항을 두고 있다.
④ 변호사시험의 응시기간과 응시횟수를 법학전문대학원의 석사학위를 취득한 달의 말일 또는 취득예정 기간 내 시행된 시험일부터 5년 내에 5회로 제한한
변호사시험법 제7조 제1항은 변호사시험에 5회 모두 불합격한 청구인들의 평등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정답

일반적 헌법유보
헌법에서 직접 모든 기본권의 행사에 대한 한계를 규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우리 헌법에는 없고 독일과 일본에는 규정이 있다.







기본권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판시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① 소비자들에게 정품 화장품에 일명 샘플 화장품을 끼워 판매하는 수법으로 샘플 화장품을 판매하는 경우 형사처벌하는 것은 헌법에 위반되지 아니한다.
② 국회노동위원회는 고발한 증인에 대한 검찰청의 불기소처분에 대해 재판절차진술권 침해를 이유로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
③ 대통령은 '기본권수범자'일 뿐 '기본권소지자'는 아니므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중립의무 준수요청 조치에 대해 정치적 표현의 자유 침해를 이유로
헌법소원을 청구할 수 없다.
④ 등록이 취소된 정당도 '등록정당'에 준하는 '권리능력 없는 사단'으로서의 실질을 가지므로, 등록이 취소된 정당은 정치자금법 제12조의 법인 단체 등의
정치자금기부금지 조항에 대해 평등권 침해를 이유로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







정답

소비자들에게 정품 화장품에 일명 샘플 화장품을 끼워 판매하는 수법으로 샘플 화장품을 판매하는 경우 형사 처벌하는 것은 헌법에 위반되지 아니한다.
(헌재 2017.5.25. 2016헌바408)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 기본권충돌의 문제는 기본권의 객관적 가치질서에서 설명될 수 있다.
② 기본권 행사능력은 민법상의 행위능력과 유사하나, 헌법이 명문으로 기본권 행사능력을 정하는 경우는 없다.
③ '5 · 18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 등에 법률'과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은 입법목적이나 적용대상이 다르고 보상금의 성격도 다르므로,
위 법률의 적용을 받은 자들과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의 적용을 받는 자들은 동일한 비교대상에 해당하지만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
④ 근로의 권리는 사회적 기본권으로 국민에게만 인정되고 외국인에게는 인정되지 않는다.








정답

객관적 가치질서로의 기본권은 입법 · 사법 · 행정의 모든 국가기능의 방향을 제시하는 지침으로서 작용하므로
국가기관에게 기본권의 객관적 내용을 실현할 의무를 부여한다.
(헌재 1995.6.29. 93헌바45)











출처 - 윤우혁 경찰헌법 예상적중문제선

728x90
반응형